|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hobbes (Y.(H.T.)) 날 짜 (Date): 1996년07월01일(월) 18시16분34초 KDT 제 목(Title): 뇌물...^.^ 이제는 좀 부드러운 이야기... 우리나라에서는 지금 뇌물이 큰 문제가 되고있다. 아니 좀더 정확히 말하면 일처리가 미숙한 점을 감추기 위한 뇌물이 몇년후 그 건축물들을 무너뜨리고 파괴하고 사회기강을 흐리고 국가의 체제까지도 흐리멍텅하게 만든다. 그런데 이 뇌물은 과연 언제 시작되었을까 ? 우리는 이런 말을 알고 있다. "요즈음 어린것들은 버릇이 없어. 우리가 어렸을적에는 안그랬는데. 예전에는 참 예의가 바르고그랬는데...쯧쯧쯧." 그러나 이말은 요즈음 우리가 한 말이 아니다.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의 상형문자(hieroglyphics)에 적혀있는 것을 번역한것일 뿐이다. 그러면 뇌물은 ??? 이집트와 더불어 세계 고대문명의 쌍벽을 이루는 메소포타미아(두 강사이의 땅)에서 발견된 설형문자(cuneiforms)를 담은 점토판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적혀 있다. [한 아이가 학교에서 매일 선생에게 매를 맞자 아버지에게 하소연한다. "아버지, 선생님의 급료를 올려주세요. 그럼 나에게 친절히 하게 될 거예요." 이에 그 소년의 아버지는 그 선생을 초대하여 맛있는 음식과 향료와 새 옷과 반지를 대접했다. 이에 그 선생은 다음날부터 그 소년을 칭찬하며 앞날을 축복했다.] (cited from National Geographic society Special edition issued in 1994 [The ancient worlds] "The Sumer civilization" part)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웃음을 준다. 또한 교훈도. 이 이야기는 약간의 애교와 웃음으로 넘길수있지만,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그러나 뇌물이 그 먼 옛날.. 우리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시대에도 있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인간의 본성은 변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종합생활기록부, 골프장 허가, 유독 쓰레기 불법 매립 허가, 사업 수의계약 특혜등등.. 우리나라는 사업 입찰에서 1원을 써서 당당히 낙찰받을수 있는 세계유일의 나라일 것이다. 이런것들이 넓은 의미의 [뇌물]이라고 볼 수 있다. 바늘 도둑이 소도둑된다고 한 어린아이의 작은 소망을 풀어 주기위한 뇌물이 이제는 한 나라의 흥망을 좌지우지할 수도 있는 큰 사건이 되어버린 지금... 인간으로서 표시할 수 있는 감사의 표시와 힘을 가짐으로써 거두어 들일수 있는 소작료(??)의 차이는 과연 어디서 시작되는 것인가라고 물어보고 싶다. (어쨋든, 그 소년[사실은 나보다 6500살정도 많지만]의 소망은 풀렸으니 학교에서 공부를 열심히 잘 했겠지 ?? :-) ) The long habit of living indisposeth us for dying. -Sir Thomas Brow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