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snuiwa (큰바우얼굴() 날 짜 (Date): 1996년05월01일(수) 13시08분31초 KST 제 목(Title): 정도전의 생애와 사상 (8) (2) 統治觀 (仁政과 德治) 그가 民을 중심으로 하는 統治權을 주장한 만큼 그의 정치사상은 民本과 爲民을 그 기준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나온 것이 바로 '仁政'이요, '德治'이다. 그런데 이 仁이라는 것은 天地가 萬物을 生育 하는 마음으로서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 마음씨를 가지고 태어난다. 이는 곧 인간의 先天的인 本性인 仁이다. 그는 仁에 대한 설명으로 孟 子의 설명을 따르고 있다. 天地는 만물을 生育하는 것을 本心으로 삼는데, 人間은 '天地가 만물을 生成하는 마음'을 가지고 태어난다. 그래서 인간은 누구나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니, 이것이 이른바 仁이다 {{ ) 韓永愚, {鄭道傳思想의 硏究}, p. 111 引用. }} . ({佛氏雜辨} 佛氏慈悲之辨) 仁이란 善한 것이기 때문에 이 仁을 타고나는 사람이란 本性的으로 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결국 性善說의 입장을 취하쉼� 같은 질문을 받게 된 다. 그러면 인간은 왜 罪惡을 저지르는가? 이에 대해서 鄭道傳은 다음 과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우선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氣의 性은 인 간에 따라서 제각기 달라서 淸濁, 賢愚, 貧富, 貴賤 등과 같은 차이가 나타나고 여기서 罪惡이 발생한다. 또한 이에 덧붙여서 後天的인 環境 에 의磯鳴� 말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惡이란 本然의 性에 입각해서 이를 추구하려는 인간의 主體的인 노력, 즉 道 德敎養과 敎化, 그리고 環境條件의 改善에 의해 그 구제가 가능한 것 이라고 해서 그 해결책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그러면 인간이 추구하고 실현해야 하는 도덕 규범은 무엇인가? 인 간의 도덕 규범 중에 중요한 덕목은 仁·義·禮·智의 四德과 親·義 ·別·序·信의 五典(五적인 도덕 규범은 仁이다. 그래서 '仁은 仁의 愛요, 義 는 仁의 制요, 禮는 仁의 敬이요, 智는 仁의 知 {{ ) {三峰集} 卷 3, 河相國春亭詩序. }} '라고 말하고 '仁은 心德의 根本이요, 愛는 仁에서 피어난 것 {{ ) {朝鮮經國典}(上) 正寶位 '仁爲心德之全 愛乃仁之所發.' }} '이라고도 말한다. 즉 仁과 愛는 體(本體)와 用(作用)의 관계를 갖으며, 仁이 없이는 남을 사랑할 수가 없다고 보았다. 그런데 仁은 순서를 전제로 한 사랑이어서, 인간은 먼저 인을 체득 하는 노력을 선행해야 하고 그 다음에 인에서의 사랑은 다시 남에게 추급해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 순서가 仁을 체득한 후에 一次的으로 부모에게 다음에는 他人에게, 그리고 그 다음에는 萬物에 게 차례로 미쳐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떰�, 政治에 있어서 基本的인 統治規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政治는 윤리를 실천하는 과정으로서 統治者는 權力者가 아니라 道 德의 實踐者요 敎化의 宣布者여야 한다고 鄭道傳은 보고 있다. 그래서 그는 仁에 의한 政治 곧 仁政을 강조하게 된다. 그러면 그가 주장하는 仁政이란 무엇인가? 첫威壓에만 의거하는 統治手段을 배격한다. 그는 德治와 刑罰政治와의 차이점을 孔子의 말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 명한다. 政(法制)으로써 이끌고 刑罰로 다스리면 백성들은 罪를 범하지는 아니하나 수치를 모르게 된다. 德으로써 백성을 이끌고 禮로써 다 스리면 백성은 수치심을 갖게 되고 또 안간 자체도 올바르게 된 다 {{ ) {朝鮮經國典}(下) 憲典摠序 '聖人之制獻의 확보 자체가 아니다. 어디까지나 人間本性 확보를 우선하고 다음에 人間本性의 順理에 따른 人間 사회의 안정을 말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가 法律이나 刑罰이 필요없다고 본 것이 아니다. 단지 刑罰과 德治 사이에는 뚜렷한 本末, 輕重의 차이가 그어져야 한 다는 것이다. 즉 어디까지나 德治와 仁政이 근븍 은 그 보조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刑法은 또한 예방과 계몽을 위한 법이 되어야 한다 {{ ) 同上條 '쒀以止쒀 刑期無刑 苟吾治之已成 則刑可措而不用矣.' }} 고 그는 주장한다. 둘째, 仁政은 民의 物質生活의 안정과 향상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보았다. 진정 좋은 政治라고 하면 民의 生活安定이 역시 同伴되어야 한다. 그리고 民의 생활 안정을 위해 生産의 增進, 鳧� 均等化, 收取의 緩和, 國家財政의 充實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면 여기서 그는 仁政의 궁극적인 목표 중에 民의 경제생활 안 정을 두었을까? 그것은 경제생활의 안정 없이는 禮義나 道德이 실현될 수 없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管子가 말하기를 "衣食이 풍족해야 염치를 알고, 곡식 창고가 가득 차야 禮義가 일어난다"고 보는 까닭이 다 {{ .) {朝鮮經國典}(上) 賦典 農桑., 工典 倉庫.; 韓永愚, {鄭道傳思想의 硏究}, p. 117에서 再引 用. }} . 이러한 면에서 그의 정치사상은 仁政과 德治라는 통치수단으로 구체화되고, 仁政은 다시 民의 物質生活의 安定이라는 '保民'으로 귀결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政治·經濟·倫理思想은 하나를 이루어 일관되게 전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