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aizoa (오월의첫날)
날 짜 (Date): 2001년 12월  6일 목요일 오후 06시 43분 24초
제 목(Title): Re: 퍼온글/ 한복입고 영어로 수업하는 민�



clone님의 장문의 글, 감사합니다. 하지만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너무 많군요. 
clone님이 대안이라고 주장하시는 것을 제가 독해한대로 요약하자면, (1) 
사립학교에 자율권을 부여하고 정부의 재정지원을 중단하고, (2) 그 돈으로 
공립학교에 지원하되, 공립학교 입학을 어렵게 하는 등으로 질을 유지한다. 
입니다.

그런데, 만약 그렇게 된다면 공부를 못하고 가난한 학생의 경우는 공립학교에는 
시험을 통과못해서, 사립학교에는 돈이 없어서 진학하지 못하는 결과가 됩니다. 
그렇게 되면 가난한 학생의 경우에는 엄청난 압박을 받으면서 학업성적에 
매달리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말씀하신 아이디어의 출처가 저의 기억으로는 
이준구교수인 것 같은데, 이게 이렇게 학업성적의 경쟁을 강화하는 
시장운영방안으로는 알맞은 아이디어일 수 있어도 그 이상의 것을 생각하는 
교육 정책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위의 문제를 논외로 하더라도, 경쟁이 과연 제대로 발생할 수 있을지가 
문제됩니다. 올해 자립형 사립고-즉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는 조건으로 
자율권을 가지는 고등학교-에 지원한 사립고등학교는 불과 30여개였습니다. 그 
중 재정문제 조건 등을 만족한 것은 십수개였습니다. 갑자기 한국의 재산가들이 
고등학교 설립에 열을 올리지 않는다면 이 수는 크게 변동이 없을 것 같습니다. 
이 정도의 사립고에 대한 재정지원의 중단으로 공립고에 대한 대폭의 
재정지원이 가능하리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이제 저의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교육문제에서는 흔히 원인과 결과가 혼동되는 것 같습니다. 정보가 
경기고등학교 학생 등에게만 공유되었던 본고사를 치르고, 대학진학할 
경제적 여유를 가진 계급이 소수였던 과거의 경우에, 경기고등학교 
학생은 여유있게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최소한 앞으로의 삶에 대한 보장이 
있었던 까닭입니다.(비슷한 이유가 서울대학교 학생에게 적용됩니다.) 그것이 
그 뒤의 삶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이 되니까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이겠지요. 
덧붙이자면, 경기고등학생 몇 명의 개성적 생활을 위해 파괴되었던 수많은 2류, 
3류 고등학교 학생들의 삶도 생각해야겠지요.

저도 현재의 평준화정책은 원래 파시스트였던 박정희가 만든 
기형적인 체제라고 생각하고, clone씨 말씀대로 선택하지 않은 학교에서 애정을 
느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대안은 교육과정을 다원화 하여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교와, 기능교육을 목표로 하는 학교 등등으로 세분화하는 
방법입니다. 이것은 대학진학자를 우대하는 "결과(실상은 원인)"가 뒤집힌 
세상에서야 비로소 가능할 "원인(실상은 결과)"일 것입니다. 

당장 할 수 있는 정책으로는, 이해찬씨가 극히 타당하게 주장했던 농어촌 
특별전형과 대학 수시모집, 보충수업 폐지, 또 서울대 물리학과 장회익교수가 
제안한 서울대 한시적 학부폐지안 정도가 아닐까요? (교육부문에 한정해서 
본다면)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