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호연지기) 날 짜 (Date): 1999년 2월 20일 토요일 오후 02시 51분 02초 제 목(Title): Re: 최원식/비서구식민지경험과 아시아주의� * 이 글은 1996년 4월 25일 계간 『창작과비평』 창간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필자의 발제문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공개적으로 또는 사적으로 필자의 발제문에 대해 논평해준 참석자 여러분께 감사한다. 1)『채만식전집』 7, 창작과비평사 1989, 143면. 2) 이태진, 「임진왜란 극복의 사회적 동력: 사림의 의병활동의 기저(基底)를 중심으로」, 『한국사학』 5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62~64면. 3) 이태준, 『해방전후』, 조선문학사 1947, 46면. 4) 旗田巍, 『일본인의 한국관』, 이원호 역, 탐구당 1981, 181면. 5) F. Engels, The Peasant War in Germany, KARL MARX/FREDERICK ENGELS Collected Works, V. 7, Moscow: Progress Publishers 1978, 478~9면. ------------------------------------------------------------------------------- - 6) 나종일, 「17세기 위기론과 한국사」, 『세계사를 보는 시각과 방법』, 창작과비평사 1992, 47~77면 참조. 7) E. O. 라이샤워·J. K. 페어뱅크, 『동양문화사』 상, 전해종·고병익 역, 을유문화사 1971, 438면. 8) 고병익, 「동아시아 나라들의 상호 疏遠과 통합」, 『창작과비평』 1993년 봄호, 276~80면. 9) 山口正之, 「昭顯世子と湯若望: 朝鮮基督敎史硏究其四」, 『靑丘學叢』 제5호(1931. 8.), 110면. 10) 소현세자와 탕약망의 교유를 구체적 증거를 가지고 처음 밝힌 이는 야마구찌(山口正之)다. 그는 1928년 여름 경성제대 도서관에서, 주로 탕약망의 보고를 토대로 한 중국 천주교의 흥망성쇠를 서술한 라틴어 책(1672년 독일에서 간행됨)을 발굴하였는데 소현세자와 탕약망의 친교사적이 여기에 수록되어 있었던 것이다. 소현세자의 편지, 원래는 한문으로 씌어졌지만 라틴어로 번역된 편지가 이 속에서 발견되었음은 물론이다. 야마구찌는 이 부분 본문 전체를 당시 서울 주교 뮈뗄(Mutel)로 하여금 불역하게 하고, 그가 “본문 중의 꽃”이라고 감탄했던 소현세자의 편지를 스스로 일본어로 번역하여 불역의 본문과 일역의 편지를 자신의 논문에 수록하였다. 이 편지의 국역본은 김용덕(金龍德)의 「소현세자 연구」(『사학연구』 18호, 1964)에 나오는데, 이는 당시 중앙대 불어교수 김의정(金義貞)이 뮈뗄의 불역본을 한글로 풀어낸 것이다. 세자의 편지는 한문 원본은 망실된 채, 라틴어·불어·일어·한국어, 4본의 역문만 남은 셈이다. 그나마 원본에 가장 가까운 라틴어본을 구해보기 어려운 터에 불역본은 오식투성이고 일역·국역본은 오역이 적지 않다. 위 인용문은 필자가 야마구찌의 논문에 실린 불역본(106면)에서 번역한 것이다. ------------------------------------------------------------------------------- - 11) 이에 대해서는 김용덕의 「소현세자연구」(1964)를 참조할 것. 그는 이 논문에서 소현세자가 인조에 의해 독살되었다고 주장한다. 12) 海野福壽, 『韓國倂合』, 東京: 岩波書店 1996, 22~23면. 13) 姜在彦, 『近代朝鮮の思想』, 東京: 紀伊國屋書店 1971, 77면. 14) 같은 책, 77~79면. 15) Marx & Engels, Werke 39, Dietz Verlag 1950, 298면. ------------------------------------------------------------------------------- - 16) 송정환, 『러시아의 조선침략사』, 범우사 1990, 84면. 그러나 이 책의 관점은 지나치게 친중반러적인 것이 문제다. 17) 三谷博, 「幕末일본의 외교와 정치변동」, 『동북아』 제2집, 동북아문화연구원 1995, 78면. 18) 市井三朗, 『명치유신의 철학』, 김흥식 역, 태학사 1992, 5면. 19) 大江志乃夫, 「征韓論の成立とその意義」, 『東アジア近代史の硏究』, 東京: 御茶の水書房 1967, 77면. 20) 같은 글, 59면. ------------------------------------------------------------------------------- - 21) 같은 글, 65~66면. 22) 같은 글, 90~91면. 23) 遠山茂樹, 『日本近代史 1』, 東京: 岩波書店 1978, 17면. 24) 大江志乃夫, 앞의 글, 91면. 25) 『건설기의 조선문학』,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회 서기국 1946, 27~28면. ------------------------------------------------------------------------------- - 26) 森島洞夫, 「アジア經濟共同體」,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한일협력체제의 모색: 새로운 세기를 향하여』, 한림대 일본학연구소 1995, 157~58면. 27) 서재필, 「회고 갑신정변」, 『갑신정변과 김옥균』, 국제문화협회 1947, 84~85면. 28) 今井宏, 『明治日本とイギリス革命』, 東京: 筑摩書房 1994, 40~41면. 29) 백낙청, 「개혁문화와 분단체제」, 『황해문화』 1996년 여름호, 307면. 30) 같은 글, 319면. ------------------------------------------------------------------------------- - 31) 岡倉天心, 『東洋の理想』, 富原芳彰 역, 東京: 講談社 1986. 원래 1903년 런던에서 발간된 The Ideals of the Eas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rt of Japan을 일역한 것이다. 32) 같은 책, 20면. 33) Stephen N. Hay, Asian Ideas of East and West: Tagore and His Critics in Japan, China, and India, Harvard Univ. Press 1970, 36면. 34) 같은 책, 40면. 35) 같은 책, 14면. ------------------------------------------------------------------------------- - 36) 같은 책, 251면. 37) 민두기, 「동아시아의 실체와 그 전망:역사적 접근」, East Asia and the University in the 21st Century(서울대 개교 50주년 기념 1996년 국제씸포지엄 발제집), 38~40면 참조. 38) 竹內好, 『日本とアジア』, 東京: 筑摩書房 1993, 194면. ------------------------------------------------------------------------------- - �� �後後� �짯後� �後� �碻碻碻� �碻碻� �� �� ┛┗ �� �� �� �� �後後� �碻�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