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sjyoun (예리큰아빠)
날 짜 (Date): 1998년 11월 25일 수요일 오전 10시 10분 26초
제 목(Title): 연합]<우리나라 기상관측의 역사>


번호 : 187/1299                 입력일 : 98/11/24 13:55:32      자료량 :30줄

제    목 : <우리나라 기상관측의 역사>
날    짜 : 98년 11월 24일

    (서울=연합) 權赫昌기자 = 우리나라에서 근대적인 기상관측이 시작된 것은 1904
년 3월 일본이 러일전쟁을 위해 목포에 임시관측소를 설치하면서 부터다.
    일본은 같은 해에 부산과 인천,원산,용암포에, 1905년에는 성진에 관측소를  설
치했고 1907년 러일전쟁이 끝나자 6개 관측소는 우리측에 이관됐다.
    1910년 한일합방이후 기상관측 업무는 조선총독부가 관장했고 그 후 전국  각지
에 측후소가 설치돼 1944년에는 기상대 1개, 측후소 24개, 항공기상출장소 17개, 간
이우량관측소 5백90개가 한반도의 기상관측을 담당했다.
    해방이후 기상관측업무는 남조선 과도정부하의 문교부 관상국에서  맡았고  48
년 정부수립과 함께 문교부 소속의 국립중앙관상대가 발족했다.
    이후 62년 교통부소속으로 이관됐고 69년에는 다시 과학기술처 소속으로 넘어간
기상청은 이름도 자주 바뀌었다.
    구한말부터 일제시대까지는 관측소와 측후소라 불렸고 해방후 관상대에서  81년
엔 기상대로 90년엔 기상청으로 변천해왔다.
    근대이전의 기상관측은 한마디로 하늘을 바라보며 날씨를 추측하는 `觀天望氣'
수준이었다.
    삼국시대에는 삼국사기 및 증보문헌비고 등에 각종 기상관측 기록이 나타나있는
데 기원전 34년에 안개를 관측했고 신라초기에는 천둥벼락을 감지했으며 백제  고루
왕 40년(서기 116년)에는 '큰 비가 내리고 한강이 넘쳐서 인가가 떠내려갔다'는  기
록과 함께 '먼저 황새가 도문에 보금자리를 만들면 마땅히 수재가 있을 것이라고 생
각했는데 과연 그러하였다'라고 적혀있다.
    고려시대에는 천문과 측후,역수 등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이 생겨났는데 太卜監,
太史局, 司天臺, 觀候署, 書雲觀 등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조선시대는 고려의 서운관을 계승해 측후,천문,曆日 등의 업무를 담당했는데 세
종 7년엔 서운관을 觀象監으로, 연산군때는 司曆署로, 중종대는 다시 관상감으로 개
편됐다가 갑오경장으로 1894년 폐지됐다.(끝)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