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화이트헤드) 날 짜 (Date): 1998년 9월 3일 목요일 오후 05시 11분 21초 제 목(Title): Re: 최원식/세계체제의 바깥은 없다 * 이 글은 학술 토론회의 기조발제문이어서 주제토론이 없었다.─편집자 1) 정성기, 「IMF체제하 공황과 생존의 길」, 『세상만들기』 1998. 1, 7면. 2) 같은 글, 7면. 3) 『시사저널』 1998.3.19, 38~41면. 4) 윤진호, 「IMF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위기의 극복방안」, 『황해문화』 1998년 봄호, 48면. 5) 같은 글, 49면. ------------------------------------------------------------------------------- - 6) 브루스 커밍스, 『한국일보』 1998. 1. 1. 7) 고철기, 「대공황의 불가피성」, 『녹색평론』 1998년 1-2월호, 34~36면. 8) 정현숙, 「네오휴머니즘의 예견」, 『녹색평론』 1997년 11-12월호, 140면. 9) 박복영, 「두 번의 국제금융위기: 1931년과 1997년」, 『역사비평』 1998년 봄호, 138면. 10) 『동아일보』 1998. 2. 11. ------------------------------------------------------------------------------- - 11) 海野八尋, 「規制緩和, 構造轉換論では答えは書けない」, 『世界』 1998년 3월호, 112면. 12) 같은 글, 113면. 13) 피터 디켄, 「초국적기업과 국민국가」, 『유네스코포럼』 1997년 가을호, 229면. 14) Michael L쉢y, The Politics of Combined and Uneven Development, Verso 1981, 2면. 저자는 그람시가 러시아혁명을 『자본론』과 고전적 맑스주의에 대한 살아 있는 부정으로 파악한 견해가 경솔한 것임을 이 책에서 치밀하게 논증한다. 맑스는 후발자본주의사회가 사회주의로 이행하는 데 있어서 자본주의적 성숙 문제를 고민했지만, 사회민주주의자들처럼 단계론에 빠져든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영구혁명에 기초한 레닌주의 및 그 변형들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는 없다. 15) 같은 책, 5, 28면. ------------------------------------------------------------------------------- - 16) 김인중, 「1848혁명의 새로운 평가」, 『역사비평』 1998년 봄호, 322면. 17) Ellen Kay Trimberger, Revolution From Above: Military Bureaucrats and Developmemt in Japan, Turkey, Egypt, and Peru, Transaction Books 1978, 서문 ⅷ면. 18) 요한 갈퉁, 「문화적 평화: 몇가지 특징」, 『유네스코포럼』 1997년 가을호, 271면. 19) 앙드레 모르와, 『영국사』(上), 서문당 1975, 168면. 20) G. M. Trevelyan, A Shortened History of England, Penguin Books 1960, 145면. ------------------------------------------------------------------------------- - 21) Faruk Tabak, “Ars Longa, Vita Brevis?: A Geohistorical Perspective on Pax Mongolica,” Review 1996년 겨울호, 25면. 22) 임형택, 「고려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 『목은 이색의 생애와 사상』, 일조각 1996, 293면. 23) 남기정 옮김, 『일제의 한국사법부 침략실화』, 育法社 1978. 이 책은 1940년 토오꾜오 법조회관(法曹會館)에서 구한말과 일제 초기 조선 사법계에서 활동했던 일본인들이 모여 이틀간에 걸쳐 좌담한 내용의 속기록을 번역한 것이다. 24) 같은 책, 42면. 25) Karl Marx, “Revolution in China And in Europe,” On Colonialism, International Publishers 1972, 21면. ------------------------------------------------------------------------------- - 26) 宮嶋博史, 『兩班: 李朝社會の特權階層』, 中央公論社 1995, 214면. 27) Karl Marx, “The British Rule in India,” 앞의 책, 41면. 28) 粕谷信次 編, 『東アジア工業化ダイナミズム: 21世紀への挑戰』, 法政大學出版局 1997, 13면. 29) 『世界』 1997년 12월호, 277면. 30) 뚜웨이밍, 「유가철학과 현대화」, 『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지성사 1995, 382면. ------------------------------------------------------------------------------- - 31) 金耀基, 「유가윤리와 경제발전」, 『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411면. 32) 이 글은 원래 Foreign Affairs 1995년 9-10월호에 실린 것인데, 여기서는 미 공보원이 배포한 번역본을 참고하였다. 33) 加地伸行, 『儒敎とは何か』, 中央公論社 1996, 250~51면. 34) 趙景達, 「朝鮮における大國主義と小國主義の相克: 初期開化派の思想」, 『朝鮮史硏究會論文集』 22號(1985. 3), 71면. 35) 『世界』 1998년 1월호, 137면. -------------------------------------------------------------------------------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활쏘기는 군자의 덕성과 비슷한 바 가 있으니, 활을 쏘아 과녁을 벗어나더라도 오히려 그 이유 를 자기 몸에서 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