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althNdiet ] in KIDS 글 쓴 이(By): fidelis (성격파란) 날 짜 (Date): 2002년 9월 2일 월요일 오후 09시 32분 35초 제 목(Title): Re: 제가 아는 운동 상식 몇가지 제가 달리기=유산소운동, 기구운동=무산소운동 인 것처럼 쓴데는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정확하게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역시 '농구는 무산소 운동으로 보기도 한다'라고 언급했지만 어쨌든 지적하신대로 오해의 소지는 있었던 것 같습니다. 무식한 놈이 용감하다고 잘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척 하다가 실수를 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충고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HIIT에 대한 정보 역시 아주 유용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운동할 때는 말씀하신 내용도 실천해 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저역시 포스팅 하신 내용에 궁금한 점이나 석연챦은 점이 몇가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뭐 따지는 건 아니구요 그냥 전문가이신 것 같아서 가르침을 좀 받고자해서요:) 1. 먼저, '지방과 탄수화물이 동시에 소비되는데 어떤 것이 주로 소비되느냐로 유산소인가 무산소운동(산소운동이라고 쓰셨지만 오타인 것 같아서^^)로 구분합니다.' 라고 하셨는데, 고등학교 생물 수준의 지식만을 가지고 있는 제가 알기로는 유산소인가 무산소인가를 구분하는 것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만들어 낼 때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이 되어서 세포호흡에 의한 에너지 생성이 주로 일어나게 되면 유산소운동이라고 하고 너무 격렬한 운동을 한다 든가 해서 산소공급에 의한 에너지 발생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거나 소모하게 되면 산소 공급이 딸리니까 '젖산 발효'라는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 내게 되는데 이처럼 세포호흡보다는 '젖산발효'에 의한 에너지 공급이 주가 될 때를 무산소운동이라고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몸은 탄수화물을 먼저 소비하고 싶어'한다고 말씀하신 것처럼 근육에서 에너지원으로 쉽게 이용되도록 저장된 탄수화물이 먼저 소비되고 점차 지방을 소비하는 비율이 많아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유산소 운동을 장시간하면 초기에는 탄수화물 소비가 많다가 지방의 소비가 많아지는 것이죠.(이점 역시 guest님께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합니다.) 그런데 지방과 탄수화물 중 어떤 것이 주로 소비되느냐로 유산소 무산소를 구분한다는 말은 처음 듣는데 설명부탁 드립니다. 2. 아시다시피 세포의 산소호흡에 의한 에너지 생성은 효율적인데 반해 젖산발효는 비효율적이어서 에너지를 많이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제생각에는 근육량을 늘려서 신진대사량을 늘린다든지 신진대사 속도를 높인다든지 그런 방법을 제외하고 순수히 운동중에 효율적으로 지방을 태우는 방법은 유산소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주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앞선 제 포스팅에서 유산소를 먼저 하느냐 무산소를 먼저 하느냐에 대해 언급한 것은 역시 앞서 소개한 겔러웨이의 책에 근거한 것인데요. 그 책에 따르면 달리는 중에 너무 급하게 달려서 유산소운동상태에서 무산소운동상태로 넘어가게 되면 다시 천천히 달린다고 해도 유산소운동상태로 넘어오지 않는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효율적으로 체내의 에너지원을 태우기 위해서 혹은 덜 힘들게 달리기 위해서는 적정한 심박수 이상을 넘어서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충고하더군요. 그런데 사실 제가 책을 많이 본 것도 아니지만 '유산소에서 무산소로 넘어가면 다시 유산소 로 넘어오지 않는다'라는 내용은 이책외에는 본 적이 없읍니다. 게다가 그 책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은 달리기에 대한 것이라 이런 내용을 기구운동과 달리기의 전환에 대해 바로 적용 가능한지는 사실 의문스럽고 그래서 포스팅 할 때도 조금 망설여 졌습니다. 어쨌든 일단 이이론에 따른다면 무산소 운동에 의해 다시 유산소운동상태로 돌아올 수 없게 된 상태에서 달리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이라고 보여지는 운동을 한다면 비효율적인 젖산 발효에 의한 에너지 공급이 주가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지방을 태울 수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또 guest님이 말씀하신 관점에서 생각해 보자면 웨이트와 같은 순간적으로 큰힘을 내는 운동을 할 때는 근육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저장된 탄수화물을 주로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유산소 운동을 통해서 지방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웨이트를 하면 말씀하신대로 '곤란'할 것 같습니다. 혹시 '유산소에서 무산소로 넘어가면 다시 유산소로 넘어오지 않는다'라는 이론에 대해 아시는 것이 있으면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ps1. 앞서 말씀드렸지만 전문가이신 것 같은데 앞으로도 많은 정보 부탁드립니다:) ps2. 사람에 따라서는 무산소호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분도 있던데 제가 아는 생물전공자에 따르면 '호흡'이라는 말속에 산소를 이용한다는 전제가 들어 있기 때문에 산소를 이용한 에너지 발생과정은 '산소호흡'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젖산발효'라는 용어를 사용하더군요. 저도 그에 따랐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