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ducationLearning ] in KIDS 글 쓴 이(By): Konzert () 날 짜 (Date): 1999년 6월 30일 수요일 오후 09시 41분 13초 제 목(Title): [세계의 교육개혁]한국은 아직도... 중앙일보 [세계의 교육개혁] 평가제, 한국은 아직도… 한국도 95년 교육개혁이 시작된 이후 교육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평가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고질적인 '온정주의' 로 여전히 형식에 그치거나 삐걱거리는 실정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1백86개 대학 중 1백4곳이 교수업적평가를 실시해 그 중 94곳은 평가결과를 승진.재임용 심사에, 62곳은 연구비 차등지급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업적평가로 연봉제를 실시하는 대학은 11곳뿐이고, 대부분이 평가결과를 단순히 참고하거나 최소 기준자료로 활용하는 정도다. 85개 대학이 학생의 교수강의 평가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서울대를 포함한 상당수 대학은 단지 강의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는 수준이다. 지난해 삼성경제연구소가 교육부 용역으로 서울대를 제외한 경북대.전남대 등 9개 국립대의 인력.조직관리 실태를 실사 (實査) 한 결과, 9곳 모두 연구 성과급을 연공서열로 배분.지급하고 있었다. 승진심사에서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과학논문인용색인 (SCI) 등록건수와 교내학술지 게재논문 수에 같은 배점을 부여하고 있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91년부터 대학의 교육여건을 판정하는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지난해까지 평가받은 1백20대학 중 불합격한 곳은 한군데도 없다. 평가가 허술하기는 강의실 내에서도 마찬가지다. 규정을 어기고 수업을 자주 빠지는 학생에게 학점을 줬다가 교육부 감사에서 적발된 교수들이 아직도 많다. 빈약한 평가문화는 우리 대학의 국제적 지명도를 높이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초.중.고교의 경우도 비슷하다. 교육부가 96년 교사들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연말에 학교마다 교원의 10%에게 본봉의 50~1백%를 성과급으로 주도록 했지만 연공서열 순으로 나눠갖거나 교사들 회식비용으로 쓴 곳이 대부분이었다. 입력시간 1999년6월7일 19시52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