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nomics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화이트헤드) 날 짜 (Date): 1998년 9월 17일 목요일 오전 11시 36분 39초 제 목(Title): [품질변천사] 미,일 품질관리 주도권경쟁 [ 1998년 9월 17일자 ] [품질의 변천사] 미국.일본 품질관리 주도권 경쟁 * 50년대의 품질 50년에 미국의 QC를 일본에 전파한 데밍은 경영자와 기사들에게 품질 관리 전 과정에 걸친 PDCA 사이클의 전개를 강조함으로 써, 일본의 Q C는 품질 통제가 아닌 품질관리로 출발할 수 있었다. 이즈음(54년) 주 란이 일본의 최고 경영자와 부·과장을 대상으로 품질관리의 실천 방법 을 제시했다. 일본 품질관리의 씨앗은 이보다 훨씬 이전에 뿌려진 것으로, 이시다 교수가 관리도를 고안해 전구 제조 공정을 관리했 으며, 43년에는 도 오요(동양)베어링의 QC를 지도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2차대전 직 후인 45년과 46년에 표준화와 QC 사업을 전개할 일본규격협회와 일본과 학기술연맹이 창설되어 품질관리의 기반을 닦았고, 49년에는 공업표준 화법이 시행되었다. 일본과학기술연맹은 이들 품질관리 기법을 일본 실정에 맞도록 토착화 하고, 그의 실천과 보급을 위해 51년에 데밍상을 제정·실시 하였다. 결국 일본의 품질관리는 미국과 달리 품질보증을 위해 생산자 스스로 품질 개선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는 생산자 위주의 품질 관리가 추진되 어 전사적 품질관리의 토대를 이루게 되었다. * 60_70년대의 품질 파이겐바움의 TQC(종합적 품질관리)가 60년대 초, 미국에서 도입되고 아울러 현장 작업자들의 소집단 활동인 QC 서클이 전 개됨으로서 일 본적 TQC, 즉 전사적 품질관리(CWQC)가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이로써 일본 산업은 품질과 생산성을 크게 높여 점차적으로 일본 상품의 경쟁 력을 높일 수 있었다. 70년대에 일본 상품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세계 시장을 제패함에 따라 세계 각국의 관심은 일본적 TQC에 집중되었다. * 80년대 품질 80년대 일본에서는 품질관리 관련 국제 세미나, 전문가 파견 및 연수 팀 초청, 민간 기업의 해외 진출 및 기술 협력이 많았다 . 일본적 TQ C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일본에서는 영어판 `QC서클 강령' 책자의 보 급을 비롯해 JIS와 데밍상의 국제화를 위해 외국 기업에도 문호를 개방 하고, QC 관련 국제 회의인 ICQCC '85 TOKYO, ICQCC '87 TOKYO 등을 열 기도 했다. 87년에는 미국이 중심이 되어 품질 보증 체제를 다지기 위해 `ISO 90 00 시리즈'를 제정한 바, 여기서 그들은 일본의 전사적 품질관리 개념 을 품질경영(QM)으로 받아들이기에 이르렀다. 데밍이 그의 저서 `위기 탈출 (Out of Crisis)'을 출간한 것은 82년으로, 당시 미국에서는 일 본기업의 눈부신 발전과 미국 시장 침투에 관심이 고조되었을 때였다. 데밍은 이 책에서 미국 산업의 위기를 강조하고 경영 스타일의 변혁을 촉구하였다. 위기 탈출을 위한 대표적인 대응책으로 1980년에 NBC가 방영한 `일본 은 하는데, 우리는 왜 못하는가?'라는 TV 프로와 87년에 제정된 맬콤 볼드리지 국가품질상을 꼽을 수 있다. 미국 사람들로 부터 천대(?)를 받아 오던 데밍은 그 후 미국 품질관리 재건의 기수로 활약하는 계기가 되었는데, 그의 품질경영 철학은 통계적 품질관리를 기초로 하는 통계 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일본적 경영의 이론과 관행을 중심으로 하고 있 다. 데밍이 전후 일본의 경영자들에게 QC를 가르쳤지만 그 자신도 일본의 품질관리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 그것은 `인간을 구성원으로 하는 조 직은 인간본위여야 한다는 것이 그의 경영 철학이다. NBC TV 방영 이후 일본의 품질관리 기법인 다구치 방식, 품질 기능 전개(QFD), 동시 병 행 설계(CE), 방침 관리와 기능별 관리, 지속적인 품질 개선(CI) 등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즉, 미국 산업에서의 품질경영은 그룹의 참여, 고객 만족, 벤치마킹, 맬콤 볼드리지상의 운영이 큰 몫을 했다. 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미 국의 경영자들은 품질에는 관심이 별로 없었다. 그러나 일본의 TQC를 익히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 서 고객 만족·경영 철학·기업 문화· 벤치마킹 등을 가미해, 이른바 TQM(종합적 품질경영)을 구축하여 90년 대에 들어와 잃었던 고지를 다시 탈환할 수 있었다. 80년대까지 고전하던 미국 기업의 부활은 포드의 `토러스'나 크라이슬 러의 `네온'자동차의 인기에서 엿볼 수 있다. 이들 사례 에서 `고품질 의 상품을 저가격으로'라는 종래의 경영 사상에서 `수요자가 가치를 인 정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제공을 적절히 추구한다 '는 패러다임의 전환 을 볼 수 있다. * 90년대 품질 70년대부터 80년대 말까지 일본의 경쟁력은 미국을 능가했지만, 90년 대 들어오면서 전세는 다시 역전되었다. 경쟁력이 국제적 수준에 있 는 일본 기업은 도요타, 혼다 자동차와 소니, 마쓰시타, 히다치, NEC 등의 전자 업체를 비롯한 제조업체들 뿐이다 . 은행·증권·보험 등의 서비스 산업은 국제경쟁력이 떨어진다. 75% 이 상의 근로자들이 서비스 업체에 근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QC서 클대회의 참가자 수는 1/4에 불과하다.여기서 일본 서비스 품질경영의 취약점을 엿볼 수 있다. 그 동안 미국 산업의 TQM 구축 노력을 과소 평가한 일본 학계와 실무 자들은 미국의 맬콤 볼드리지상 수상 업체를 둘러보고, 고객 만족을 목 표로 그룹 주도하에 일본적 TQC가 TQM으로 구축되어 실시되고 있음을 보고 크게 놀랐다. 60년대에 미국이 그랬던 것처럼 일본은 자만과 매너 리즘에 빠져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일본내에서는 일본적 TQC의 비판이 일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일본과학기술연맹은 96년 4월 TQC의 호칭을 T QM으로 개정할 것을 결의하고 97년에 `TQM 선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의견.제보 : company@mk.co.kr 경제용어사전 품질경영은 21세기 국가경쟁력 1998/09/17, 09:01 [인터뷰] 안광구 한국표준협회장 1998/09/17, 9:1 ------------------------------------------------------------------------------- - Comments or Questions to Webmaster@mk.co.kr Copyright ⓒ 1996 Maeil Business Newspaper Co., Ltd. All Right Reserved.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활쏘기는 군자의 덕성과 비슷한 바 가 있으니, 활을 쏘아 과녁을 벗어나더라도 오히려 그 이유 를 자기 몸에서 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