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tholic ] in KIDS 글 쓴 이(By): rainman (아름다운꿈맧) 날 짜 (Date): 1997년09월23일(화) 23시11분32초 ROK 제 목(Title): 틈의 여유 3 급류의 고기와 마찬가지로 탐욕스러운 자가 서둘러 모든 것을 집어 삼킨다. 탐욕은 큰 병이다. 탐욕은 사람을 가만두지 않는다. 꽉쥐고 독점한다. 마음이 틈이 없이 꽉 차있다. 꽉 찬 욕망의 도시와 텅 빈 가난한 농촌을 비교해 보라. 탐욕은 다 잡아먹는다. 심지어 나무도 산도 송사리도 강도 땅도 지구도 무엇이나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다. 들어가는 것만 생각하고 나오는 것은 생각하지도 않는다. 탐욕이 쏟아내는 쓰레기는 첨단 과학도 속수무책이다. 더 많이 가지는 것이 행복한 삶은 아니다. 인간다운 삶은 더욱 아니다. 이제는 소유의 문제가 아니다. 존재, 즉 인간답게 사는 문제이다. 물질적 빈곤도 인간다운 삶은 아니다. 그리고 소유와 낭비에 의한 정신적, 도덕적 빈곤도 인간다운 삶이 아니다. 아직도 이 나라에서는 생활고로 동반자살을 하고 있으며, 점심을 굶는 어린이가 있다. 그런데도 돈푼깨나 있는 사람들은 밥맛이 없다고 별의별 것을 다 먹고 있다. 요컨대 무엇이 문제인가? 한마디로 틈의 문제이다. 틈의 문제는 비우는 문제이다. 바로 공이다. 역으로, 가난하게 산다는 것은 비우고 틈을 내는 것이다. 부족, 모자람, 여백이 오히려 행복이다. 무엇이든지 풍부하다고 그만큼 기쁨이 큰 것이 아니다. 모자라는 듯한 여백이 더 아름답다. 자발적 가난을 선택하는 것은 지구촌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 네가 내 곁에 오던 날 *** *** 내 마음은 *** *** 호수가 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