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tholic ] in KIDS 글 쓴 이(By): Ugaphite (우 가 ) 날 짜 (Date): 1998년 8월 4일 화요일 오후 01시 25분 44초 제 목(Title): Re: 다시 질문요.. >그럼 영성체를 모시기 전에 반드시 고해성사를 보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알고 있어도 됩니까? 물론입니다. 영성체를 모시기 전에 꼭 고해성사를 보실 필요는 없습 니다. 다만 대죄를 범했거나 아님 자신이 생각하기에 성체를 모시기 에 조금 미진하다고 생각되었을 때 고해성사를 보고 성체를 모시면 됩니다. 이어서 올린 '성체성사'에 대한 글중 [6.성체성사를 받기에 합당한 준비] 부분을 보시면 좀 더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아.. 하지만 부활절과 성탄일 미사때 영성체를 모시기 위해선 필히 >고해성사가 선행되어야 하다고 그러지 않습니까? >이 판공성사는 어떠한 근거로부터 비롯된 의무인지 궁금합니다. >참된 신앙생활을 위한 필요조건이라는데 과연 누가 정한 >필요조건입니까? 다음은 하이텔에서 퍼온 판공성사에 대한 글입니다; ************************************************************* '판공성사'라는 말은 우리 한국 교회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이것은 한국 교회에서 정한 신자의 의무, 즉 주일을 거룩하게 지낼 것, 단식.금육재를 지킬 것, 일년에 적어도 한 번 이상 고백성사를 보 고 영성체를 할 것, 혼인법을 지킬 것 등 네가지 규정 중 하나인 '일 년에 적어도...'라는 규정을 말합니다. 우리가 신자로서 참된 신심생활을 하려면, 자주 고백성사를 보고 영 성체 함으로써 하느님과 더욱 가까워져야 합니다. 그런데 특별한 사정 이 있든지 아니면 신앙이 미지근하든지 하여 그동안 성사를 보지 않았 다면 적어도 일 년에 두 번, 의무를 지워서라도 성사생활을 하게 하려 는 것이지요. 이를 '판공성사'(辦公聖事)라고 합니다. 판공성사를 보는 시기는 교회의 가장 큰 축일이라 할 수 있는 예수부 활 대축일 전(봄판공이라 함)과 예수성탄 대축일 전(가을판공이라 함), 두 차레로 정하였는데 그 때마다 자기가 소속된 본당에서 성사표 를 보내옵니다. 이는 고백성사를 보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자는 성사를 본 후 성사표를 고해소 안에 준비된 바구니에 넣고 나 옵니다. 그러면 신자들의 신심의 정도를 사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성사를 보았는지의 여부를 교적에다 기록하고 합니다. 그러므로 판공 성사를 가능하면 자기가 소속된 본당에서 보도록 권장하는 것도 이 때 문입니다. 어떤 사정이 있어 다른 곳에서 판공성사를 보았더라도 성사 표는 자기가 소속된 본당에 제출하도록 해야겠습니다. 그러나 겨우 판공만을 지키는 신자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이것은 최 소한의 경우를 규정하고 있는 것으므로, 가톨릭 신자라면 평소에도 고 백성사를 자주 보고 성체를 자주 영함으로써 하느님과 이웃과의 사랑 을 키워가야 합니다. ************************************************************** 이미 아셨겠지만 '판공성사'라는 개념은 한국천주교회에서 지정한 일종의 local rule입니다. 가톨릭 교회가 교회법으로 지정한 신자의 의무 중 '적어도 1년에 한 번, 가급적이면 부활 시기에 성체를 모셔야 한다.' 라는 규정(다음글에 나와 있을 겁니다.)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거구요. 참고로 두 번의 판공성사를 보지 않으면( 좀 더 정확히 말하면 판공성사표를 자기 교적이 등록된 성당에 제출하지 않으면) 교회법상 '냉담자', 즉, 신앙에 열심하지 않는 신자로 분류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냥 평소에 자기 양심이 시키는 바대로, 고해성사를 하지 >않을 수 없을 때 보는 것만으론 참된 신앙생활이 안되는 >것입니까? 물론 안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라고 생각합니다.) 설사 판공성사를 보지 않아서 '냉담자'로 분류되었다고 해도 그로 인해 교회 내에서 어떤 불이익을 받는 건 아니고 또 실제로 판공성사를 봤냐 안봤냐의 여부가 그 신자 의 신심을 판가름하는 절대 기준이 되진 않습니다. 적어도 제가 아는 바로는 그렇습니다..:) 문제는 '이거 꼭 해야 돼?' 하고 '이정도는 최소한 해야 되는게 당연하지 않나?' 라는 관점의 차이겠지요. 뭐, 어느 쪽이 '옳다'라고 못박을 수는 없겠지만 성체성사와 고해성사가 카톨릭 신자들에게 어떠한 의미인가, 또 [부활]과 [성탄]이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 이들에게 어떠한 의미인가를 짐작하실 수 있다면 카톨릭 신자들 에게 왜 [판공성사]라는 규정을 만들어 적용하는지에 대해 아마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럼... 우 가 " ahemsrjtdms skdml qnstls, wkdkdml qkstkdp qnfrhkgks rjtdlek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