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uizWit ] in KIDS 글 쓴 이(By): white (백두선생) 날 짜 (Date): 1995년07월26일(수) 01시47분17초 KDT 제 목(Title): [Ans] 성의 결정. 위에 두분께서, 서로 다른 답을 쓰셨는데 사실상 두가지가 다 맞을 수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한 종의 생물에서 두가지 방식 모두가 성의 결정요인 으로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거북이의 경우에는 알을 낳아 해변의 모래속에 묻어두는데, 그 깊이에 따라 알의 온도가 다르고, 암 수는 바로 그 온도에 의해서 결정이 됩니다(높은 온도가 암컷인지 그 반대인지는 저도 기억이 확실하지 않군요..). 그러나, 유성생식(성의 구분이있는 생물)을 하는 경우에 염색체의 구성에 의해서 성이 결정되는 것이 많습니다. 대표적인 경우로 사람의 경우를 보면,성염색체가 XY 이면 남성이고, XX이면 여성이 됩니다. 염색체에 의해서 성이 결정되는 방식도 다양하여 어떤 생물에서는 Y염색체가 있다는 것이 남성을 결정짓고, 어떤 곳에서는 XX 냐 X 냐에 따라서, 결정되기도 합니다. 이런 것들을 종합해 보면, 성이 결정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고 할수 있읍니다. 마치 생물의 종류가 다양하듯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은(Heat of lovemaking) 이렇게 보면, 거의 황당한 수준의 주장입니다. 그렇지만, 성이 결정짓는 요인을 더 넓은 범위까지 넓혀서 보면 나름대로의 타당성이 있읍니다. .... 다시 말해서, 온도니 염색체니 하는 것은 수정란이후의 이야기 입니다. 학문적으로 는 당연히 그 때부터 의미가 있죠. 그러나, 수정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인들도 성의 결정에 영향을 줄 수는 있읍니다. 예를 들면, Y형 정자만을 수정시키면(의사가 마음먹고) 남성만을 선택할수 있게 됩니다. 정자가 난자를 향한 긴 여정에 들어가면, 어떤 정자가 난자에 먼저 도달할지는 거의 완전히 확률적으로 결정되게 되어있읍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이런 결과들이 있다고함)에 의하면 정자의 운동성은 산도(pH)에 매우 의존적입니다. 정자가 지나가야 할 길의 산도는 흥분의 정도에 의존한다는 연구결과도 있고보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도 과히 황당무계한 소리만은 아닙니다. 그럼 이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