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rotifl (조은성) 날 짜 (Date): 1994년09월16일(금) 20시37분03초 KDT 제 목(Title): 자유...에 대한 몇가지 생각 그동안 글들을 읽기만 해왔어요..그러다가..시간이 남는 김에 한번 제 생각을 쓰기로 했지용.. 1)자본주의는 자유가 있는 나라다..? ..라는 말에..동의를 할 수가 없네용..자본주의는 순수한 경제논리를 말한 뿐이지용..자본주의가 자유를 옹호한다면..그것은..고전파 경제학에서 말하는..소유에 대한 자유..그리고 부의 추구에 있어서 정부간섭의 최소화..이런 수준의 자유랄까요..? 우리는 수십년동안 대만을 자유중국이라고 불러왔지용? 그런데..그 대만이..80년대 중반(언제인지는 기억이 안남) 까지 계속적으로 계엄령아레에 있던 나라였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용?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자유"라는 건 ..참 우스운 말이예용..우리나라(남한)은 수십년동안 자본주의 체제였지만..우리나라에 그렇게 많은 자유가 있던 시절이 얼마나 되지요? 지금도..우리는 자유를 충분히 느낄 수 있나요? 우리나라에...집회의 자유가 있을까요?(우리나라의 집회는 현실적으로 허가제..하지만..원칙적으로 집회가 허가제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언론의 자유..?학문의 자유?.. "사상의 자유"가 있다고 말할 때, 당연히 그것은 머릿속으로 혼자 생각만 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준이 아니라..공개적으로 말할 수 있는 수준을 허용해야만 내용논리적으로 사상의 자유가 있는 것이지용.. 2)학문의 자유는 무제한으로 있어야 하지 않을까용? "학문"이라는 게...인간이 무엇에 대해 알고자 ..체계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때.."넌 이것에 대해 알려고 하지도 마"라고 나오는 것은..그리고..사회에 대해 연구를 하되, 이런식으로 결과가 나오면..넌 국가보안법 위반이야..이런 식으로 나오는 것은..인간의 한계에 대한 원시적 탄압이라고 느껴져요.. 갈릴레오에 대한 종교재판과 다를 것이 없다고나 할까요? 3)다원주의는 상대방의 관점을 인정하는 것..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는 자기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이 토론의 한 필요요건이라고 할 때, 너는 그렇게 생각하니?.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구나..하고 상대방의 관점을 송두리채 부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이것이..자유의 가치를 믿는 사람이 가져야 할 태도가 아닌가..그런데..일부의 사람은..상대방이 나와는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용납할 수 없어하고..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미워하거나 저주하려는 태도를..키즈에서 볼 수가 있네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