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News) 날 짜 (Date): 1994년09월03일(토) 02시27분43초 KDT 제 목(Title): [동아][사설]國史교과서 기술의 기준 올 3월 여론의 집중적인 질타를 받았던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개편을 위한 연구 위의 1차 시안이 상당부분 수정을 거쳐 확정됐다. 이번 확정된 교육부 시안은 특히 현대사 부문 기술에서 이른바 수정주의적 시각과 민중주의적 사관을 배격하고 보다 "객관적이고 국민적 정서에 접근된" 기준을 채택하려 했다는 점에서 일단 가닥이 잡혔다고 평가된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오는 96년부터 사용하게 될 새 국사교과서의 준거안을 마련하 는 과정에서 논란이 됐던 부분은 연구위 1차 시안이 제기한 현대사 부문, 특히 일제 하의 국내외 좌익계 독립운동과 해방후 좌우대립 시기에 있었던 남한내 폭력 좌익운 동에 대한 "적극적"평가에 관한 부분이었다. 이 시안은 구체적으로 제주도 4.3사 건을 4.3항쟁으로, 대구폭동사건을 10월항쟁 등으로 기술할 것을 제안했으나 이번 교육부 시안에서는 채택되지 않았다. 교육부는 성장기의 학생들에게 역사를 가르치는 교과서는 특정 이데올로기나 역사 관에 편중되지 않고 전체적 시각에서 정설로 확립된 것만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때문에 특히 학문적 연구가 진행중인 현대사 부문에서는 현재적 관점에서 상식과 통 념에 맞는 용어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은 다시 부연할 필요가 없다. 그런 점에서 이 번 시안은 기존 역사학계의 중논과 국민여론을 수렴한 합당한 견해라 할 수 있다. 우리 국사교과서 기술에서 특히 유의해야 할 점은 대한민국의 교과서는 대한민국 의 건국이념에 맞게 기술돼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고 역대 정권의 정치적 과오 나 우리 사회가 발전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극복해 나가야 할 사회경제적 모순에 집착 하여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자유민주주의 건국이념 자체를 부정하는 운동을 정당화하는 것은 바른 역사기술의 자세라 할 수 없다. 해방공간에서 남한의 적화를 획책한 남로당이 전조직을 동원해 계획 선동한 제주4 .3사건 여순반란사건 대구폭동 등을 인민항쟁 민중봉기 민족해방투쟁으로 미화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건국을 부정하려 한 공산주의 폭력혁명노선을 정당화하고 미화하 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것은 다 아는 일이다. 건국과정의 역사적 격동 속에서 이데 올로기와 무관하게 희생당한 민중들을 "복권"하는 일과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혼동하는 일은 엄격히 구분돼야 한다. 이번 교육부 시안을 계기로 앞으로 확정될 준거안에서도 이런 관점은 분명히 견지 돼야 한다. 국가의 정통성과 정부의 정통성을 혼동하여 대한민국의 체제 자체를 부 정하는 위험한 역사인식이 더 이상 제기돼서는 안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