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News) 날 짜 (Date): 1994년09월03일(토) 02시24분20초 KDT 제 목(Title): [조선]<류근일 칼럼> 「한국사회의 이해」 <류근일 칼럼> 「한국사회의 이해」 유감 경상대 교수사건의 전말을 지켜본 뒷맛은 씁쓸하다는 것 뿐이다. 왜 그 럴까. 우선 [한국사회의 이해]란 교과서의 내용중 일부는 필자의 견해로는 도대체 [학문적]이지 못하다. [학문이란 무엇인가]란 질문에는 물론 여러 가지 다른 답변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그 어떤 경우라 할지라도 [투쟁의 전략 전술]을 가르치는 것을 두고서 [학문]이나 [교육]이라 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한다. {…이것은 적은 역량으로 적의 우세한 진영의 약한 고리를 집중적으로 강타하는 효과를 기대했기 때문이고… 따라서 이제는 분산된 투쟁의 쟁점 을 가지고 각 계급-계층이 일제히 벌떼처럼 싸워나가는 전술로 전환해야 한다. …일상적인 가두선전, 가두즉석연설, 마을마다 대자보 붙이기, 유인 물 나누어주기 등의 투쟁형태를 발전시켜야 한다}. 이상의 인용문은 사회변혁을 위한 한 [학술운동가]의 열정이란 기준에 서 본다면 [그 나름대로 투철하다]는 평을 들을 수는 있다. 그러나 대학교 수가 [학문]이란 이름으로 학부학생들에게 [마을마다 대자보 붙이기]를 강 단에서 가르친다는 것은 아무래도 듣기에 이상하다. [마을마다 대자보 붙 이기]는 아무리 보아도 적어도 [학문]은 아니기 때문이다. 필자는 물론 이 한부분을 들어 [한국사회의 이해] 전체내용을 우습게 색칠하려는 것은 아니다. 개중에는 패러다임에는 찬동하지 않지만 학문적 연구의 무게가 있는 부분도 있음을 전적으로 간과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때 [한국사회의 이해]는 각주도 없고 참고문헌의 다양성도 너무 약한 [수준높지않은] 글들이란 느낌이 든다. 그런데도 이런 별것 아닌 논설적 글들이 어떻게 [학문]의 전당에서 [교 과서] 노릇을 수년씩이나 해왔다는 것인지, 그래서 뒷맛이 씁쓸하다. 두번째로 씁쓸한 까닭은 왜 이런 별것 아닌 논설들이 학문적 논쟁을 거 쳐서 도태되기 전에 대뜸 검찰수사에 의해 물리적으로 다루어졌느냐 하는 데 대한 아쉬움이다. 학문의 차원에서 그 글들을 평한다면 아마 [진보학 자]들 중에서도 {좀 유치하지 않느냐}하는 충고가 나왔을 수도 있는 것이 그 글들이 가진 [학문적 짜임새]의 정도다. 그런데 그것을 그만 공권력이 어느날 갑자기 손대는 바람에 그 필자들 은 일약 [유명인사]가 되고 말았다. 하루아침에 [탄압받는 한국의 학문의 자유]란 이슈가 만들어져 그것이 런던의 앰네스티(국제 사면위원회)본부에 까지 파급된 것이다. [마을마다 대자보 붙이기]가 세계적인 쟁점이 되다 니, 아무리 보아도 우습다 못해 씁쓸하달 밖에 없다. 또하나 씁쓸한 것이 있다. 그런 그들에게 반대하는 입장에 서있는 한 교수가 자신의 견해를 정식으로 이름 밝히고 천명하지 못하고 그것을 하필 이면 안기부장에게 편지로 써보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두가지 점에서 우 습고도 씁쓸하다. 하나는 왜 그렇게 치사하냐 하는 [정정당당성]의 문제 다. 그리고 또 하나는 누가 감히 이름밝히고 반대입장을 밝히기가 썩 쉽지 않은듯한 우리네 대학 분위기와 지식인 사회의 일반적인 문제점이다. 이것은 물론 보수주의-자유주의-진보주의 지식인들 사이의 신사적이고 도논리적인 지적논쟁의 풍토가 정착하기 어려웠던 우리사회의 [편싸움] 문 화, [패거리 싸움]문화하고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것이다. 누가 {이것만이 진리요, 애국이요, 정의다}하는 깃발만 꽂으면 그것에 조금이라도 이견을 가졌다가는 즉석에서 [적]으로 작살나는 일도양단의 잣대 앞에서, 엔간한 지식인들은 입닥치는게 상책이란 생각을 가지게 됐을 법도 하다. 그 [깃 발]이 어느 색깔의 것이든 말이다. 그래서 종합적으로 씁쓸한 것은 우리는 왜 [아직도] 요 수준이냐 하는 개탄이다. 선진적 수준이라면 아마 이랬을 것이다. 우선 교수들의 교과서 는 사회현상이란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이론 등 여러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 다는 것을 소개한다. 그리고 나서 그 각각의 강점과 약점을 알게 한다. 그 리고 배우는 학생들은 좀더 시간여유를 두고서 각자의 시각을 서서히 익혀 나가야 한다고 말해준다. 한편 지식인 일반은 기탄없는 학문적 논쟁을 벌여 웃기는 주장이나 수 준낮은 논리는 개떡이 되도록 두들겨 팬다. 그래서 그 필자들은 도저히 고 개를 들고 학교근처에 나타나기조차 부끄럽게 만든다. 강의 자체가 성립 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문제의 경상대학 당국이 검찰수사가 시 작된 다음에야 그 백을 믿고서인지(?) 부랴부랴 폐강조치를 한 것과는 반 대되는 방식임은 물론이다. 아울러 공권력은 손쉽게 형사소추 방식부터 대뜸 썼다가 판사의 영장기 각 결정으로 순식간에 [지붕 쳐다보기] 신세가 된 사실에서 일말의 교훈을 얻어야 한다. 공연히 선생들 출세(?)만 시키지 않았는가. 이래 저래 [한 국 사회의 이해]를 둘러싼 [한바탕]은 한국사회를 더욱 이해하기 힘든 것 으로 만들어 놓았다. <논설실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