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parsec ( 먼 소 류 ) 날 짜 (Date): 2000년 5월 10일 수요일 오후 11시 48분 07초 제 목(Title): Re: 노자 13 장 해석 13곽점죽간본에서 1통용본의 13장에 해당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章 13][乙] 人■b(寵)辱若纓(驚), 貴大患若身. 可(何)胃(謂)■b(寵)辱?■b(寵)爲下也. 得之若纓 (驚), ■L(失)之若纓(驚), 是胃(謂)■b(寵)辱纓(驚). 【何謂貴大患】若身?■H(吾)所以又(有)大患者, 爲■H(吾)又(有)身. ■央]及)■H (吾)亡身, 或【可(何)患故貴爲身於】爲天下, 若可以■T(託)天下矣. ■B(愛)以身爲天下, 若可(何)以■U(寄)天下矣. 참, 곽점 죽간본이 웹에 올라와 있다는 얘길 포스팅한다는 걸 까먹었군요. 다음 사이트(홍콩중문대학도서관 제공)에 1998년 북경 文物出版社에서 펴낸 곽점죽간(총730편)의 전사본이 1편(죽간의 한 조각)씩 검색할 수 있도록 돼 있습니다. --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검색하면 한번에 20편씩 순차적으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문물출판사 홈페이지는 http://www.wenwu.com/english.html) http://decapps.lib.cuhk.edu.hk/basisbwdocs/bamboo/bam_main.html ---> 十六篇 http://decapps.lib.cuhk.edu.hk/basisbwdocs/bamboo/bam_title.html 그리고 마왕퇴 백서본에서는 횡수님께서 지적하신 부분 외에도 마지막에서 두번째 줄이 갑/을본 공히 故貴爲身於爲天下... 라고 돼 있어서 이부분의 해석이 "천하보다 몸을 더 귀하게 여기면 천하를 맡길만하다""라고 된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간본도 마찬가지지만 그 부분에 쳐져 있는 괄호가 무슨 의미인지, 즉 누락된 부분인지, 그저 읽기 어려운 부분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일부 판본(중문 웹 버전 포함)에는 3번째 줄의 "寵爲下"가 "寵爲上 辱爲下"로 돼 있는데, 백본과 간본에서는 모두 "寵爲下"로 돼 있습니다. 물론 횡수님이 지적하신 寵에 해당하는 글자가 백본에는 다르게 돼 있고, 백서 을본에서는 그것도 寵의 전혀 반대의 뜻인 弄(놀리다)으로 돼 있는 점이 다릅니다. par·sec /'par-"sek/ n. Etymology: parallax + second Date: 1913 : a unit of measure for interstellar space equal to the distance to an object having a parallax of one second or to 3.26 light-yea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