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Hyena ( 횡 수) 날 짜 (Date): 2000년 5월 4일 목요일 오전 12시 05분 34초 제 목(Title): 노자 11, 12 장 해석 11장 1 三十輻共一(곡), 當其無, 有車之用. 서른 개 바퀴살이 바퀴통 하나에 모여 있으니, 당연히 그 없음에 수레의 쓰임이 있다. 2 (선)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진흙을 이겨 그릇을 만드는 데, 당연히 그 없음에 그릇의 쓰임이 있다. 3 鑿戶(유)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문과 창을 뚫어 방을 만드는 데, 당연히 그 없음에 방의 쓰임이 있다. 4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고로 그것이 있어서 이롭고, 그것이 없어서 쓰임이 된다. - 輻 바퀴살 복 - (곡) 바퀴통 곡 - (선) 흙 이길 선 - 埴 찰흙 식 - 鑿 뚫을 착 - (유) 들창 유 12 장 1 五色令人目盲, 오색은 사람 눈을 멀게 하고, 2 五音令人耳聾, 오음은 사람 귀를 멀게 하고, 3 五味令人口爽, 오미는 사람 입맛을 버리고, 4 馳騁(전)獵令人心發狂, 말달리며 사냥하는 것은 사람 마음을 발광하게 하고, 5 難得之貨令人行妨. 얻기 어려운 재화는 사람 행동을 그르친다. 6 是以聖人爲腹不爲目, 그러므로 성인은 배를 위하지 눈을 위하지 않으므로 7 故去彼取此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합니다. - 爽 어그러질 상, 벙어리 상 - 馳 달릴 치 - 騁 달릴 빙 - 馳騁 말을 빨리 몸, 사냥함 - (전) 사냥할 전 - 獵 사냥 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