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kiky (박 용 섭) 날 짜 (Date): 1996년07월21일(일) 01시31분54초 KDT 제 목(Title): Re: 게이지 시메트리와 경험과학 Moebius 씨가 쓰시기를, >근데, 잘 보면 이게 현상적으로 관찰된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짜맞춘 혐의가 짙습니다. 결국 물리학이 어쩔수 없이 경험과학임을 보여주는 >것 같은데. -어쩔 수 없이- 라는 말을 쓰신것이 자연과학에 대한 잘못된 생각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 됩니다. 물리학을 포함한 자연과학이란 궁극적인 검증 대상으로 자연현상 그 자체가 있습니다. 이론 이라고 하는 것들은 겉보기에 무질서해 보이는 현상들 에서 질서와 규칙성을 발견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예측력이 있는 수학적 형태로 만들어 주는 것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렇게 함으로 해서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데 도움이 되겠지요. 한마디로 말해서 관측/실험과 맞지 않는 이론은 아무리 아름답더라도 자연과학에선 쓸모가 없다 라는 이야기지요. 그러므로 물리학은 -어쩔 수 없이- 가 아니고, -당연히- 경험과학 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빛이 있어라"도 빛이 있는것을 보고 빛의 성질들을 보고 >거기에 맞춘 이론을 만들어 낸거지 막상 게이지 대칭성이 자연계에서 >반드시 실현 되야될 이유도 별로 없어 보이죠. 마찬가지로 자연계에 중력이 존재해야할 이유라든가 전자가 존재해야할 이유도 없죠. 아마 이런 문제는 아직까지는 철학의 영역이라고 생각됩니다. -게이지 시머트리는 왜 존재 하는가 ?- 라는 물음이나 -나는 왜 존재하는가 ?- 라는 물음은 느낌학(?)상 비슷하군요. >가능한 대칭성은 엄청나게 많은데, 실제 기본적인 힘들간에 실현되는것은 >몇가지 없으니까요. > >여기서 딜레마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경험적 방법과 순수한 수학에 대한 >믿음간에. 수학에 대해서는 쥐뿔도 모르지만, 수학은 단순히 자연과학이 현상을 기술하는 편리한 도구/언어를 제공하는 것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Yongsup Park (박 용 섭) | 716-275-[7738(O) 6987(L) 8527(F)] Dept. of Physics and Astronomy | park@alfalfa.pas.rochester.edu University of Rochester | http://www.pas.rochester.edu/~p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