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ilusion (XBoyFriend�@) 날 짜 (Date): 1995년06월17일(토) 01시52분19초 KDT 제 목(Title): 진리에 대한 반박 다음글은 **님이 올린글인데 여기에 대한 반박입니다. 뉴턴역학은 불완전하지만 중세의 연금술이나 신학적 자연관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자연현상을 잘 설명합니다. 그런의미에서 완전한 진리는 아니라 할지라도 진리에 더 가깝지요. 진리에도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겁니다. 그런의미에서 진리는 상대적이지만 100% 확실한 진리를 미리 배제할 필요는 없읍니다. 그정도의 차이를 확률 내지는 개연성이라고 할 때 그 범위는 0 부터 100% 까지( 0과 100% 포함)이지 0과 100% 사이 (0과 100% 배제)에 국한시킬 아무런 이유도 없읍니다. /환/상/의 반박: 자연현상을 잘설명 한다는 의미에서 진리라고 할수있을까? 만약 진리의 정의를 '자연현상을 잘설명하는 그무엇' 이라고한다면 타당할지도 모른 다. 그러나, 철학적 진리란, 코에 붙이면 코걸이 귀에 붙이면 귀걸이가된다. 말장난일뿐, 물리학적 진리와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앞 포스팅에서 한것처럼 수학적 진리와도 다르다. 그 연유는 물리학적 진리란 궁극적으로는 도달 할수없는 '그 무엇' 혹은 '우주' 라고도 볼수있으며 여기에대한 이해를 얻기위해 물리학자들은 '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의 수정작업'을 하며 좀더 근사적으로나마 '그 무엇'을 설명하려 한다. 그리고 이 모델의 신빙성이란 오직 예측과 그예측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거쳐야 한다. 글쎄, 윗글중 '... 그렇기 때문에 진리에 더가깝다' 는말은 아마추어적 주장으로 결코 이러한 표현을 써서는 안갉다. 진리에는 결코 정도의 차이는 있을수없다. 그이유는 아무리 우리가 '진리'의 정의로 일반상식적인 개념을 부여한다해도 '진리'라면 '절대성'의 의미를 내포하고 상대적 진리란 무의미한 개념이다. 왜 우리는 상대적 진리라는말을 쓰지않는가 하면 어불성설이기때문이다. 한예로 괴델의 정리를 들자. 시스템 S 가있고 이안에서 참이지만 증명이 불가능한 사실 K가 있다하자. 이경우 우리는 K를 거짓으로 여기든 참으로 여기든 하등 모순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시스템 S를 포함한 더큰 시스템 S' 에서는 K가 참임을 derive하게 만들수있다. 이경우 K는 시스템 S와 S'에 대해 얼핏 보기엔 상대적인것같지만 일반 철학적 용어에서의 '상대적'이란 의미와는 다르다. 전에 이곳 보드에 포스팅했던 환상의 '진리'관련글들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상대적 진리의 의미는 위의 주장같은 의미가 아니라 상당히 복잡하다는걸 알수있습니다. (일년전인가 이년전에 한걸로 기억하는데.) 떨리는 바람소리하나에 사랑과, 떨어지는 별빛하나에 순결과, 흔들리는 나무가지하나에 정열과, 피어나는 장미한송이에 영원을, 태풍이 몰아치는 파도이는 이한밤중에도 그대 기다리며 비를 맞습니다. 나의 그녀에게쓰는 시중에서. iLUSiON 환상 幻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