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Convex (4ever 0~) 날 짜 (Date): 1995년03월08일(수) 14시59분08초 KST 제 목(Title): 신역도덕경9-11장 제목 : 신역도덕경9-11장 #818/1207 보낸이:이은봉 (Eu173 ) 01/09 13:54 조회:39 1/5 제9장 運夷: 도로써 잘 처신하는 법. (1) 갖고 싶은 것을 채우는 것은 그만두는 것만 못할 것이며, 두들겨 날카롭게 한 것은 오래 보존할 수 없느니라. (2) 金과 玉으로 집을 채우면 능히 그것을 지킬 수 없을 것이며, 富하고 貴하다 하여 오만해지면 스스로 그 화를 끼치게 되느니라. (3) 功을 세우면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道理이니라. [持而盈之,不如其已. 而銳之,不可長保.金玉滿堂,莫之能守. 富貴而驕,自遺其咎.功遂身退,天之道] 제10장 能爲: 玄德을 지닌자는 능하다. (1) [몸에] 營魄[魂魄,마음]을 싣고, 一者[道,절대자]를 품어안아[抱一] 떨어지지 않는다면 얼마나 좋을꼬! 氣[精神]에 집중하여 부드럽게 됨으로써 어린아이와 같이 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꼬! 현묘한 마음의 거울을 깨끗이 닦아서 티가 없이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꼬! 百姓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리되 無爲로써[인간의 꾀로서 말고]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꼬! 天門의 열고 닫음을 암컷과 같이 할 수 있다면[자연스럽게 委託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꼬! 맙ぐ있으면서도 無知者로 자처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꼬! (2) [天地萬物을]낳고 또 기르는도다! 낳고도 독점하지 않고, 공을 세우고도 자만하지 않고, 長이면서도[으뜸이면서도] 지배하지 않는도다. 이를 일러 玄德이라 하느니라. [載營魄抱一,能無離乎.專氣致柔,能엡兒乎.滌除玄覽,能無疵 乎.愛民治國,能無爲乎.天門開闔,能爲雌乎.明白四達,能無知 乎.生之畜之,生而不有,爲而不恃,長而不宰,是謂玄德] [감상:이 시는 玄德을 지닌 사람이라는 노자의 이상적 인간의 모 습을 표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는 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가 덕이 있음을 알지 못하고, 모든 일에 통달하여 있으면서도 스스로 알고 있음을 모르고 있는 사람입니다. 새가 부리를 놀리 는 것은 자연스럽고, 갓난 아이가 젖을 먹고 만족스러우면 자기 도 모르게 웃는 모습은 자연스럽습니다. 마찬가지로 현덕을 지닌 자가 무엇을 하는 것은 힘이 들지 않고 자연스럽습니다. 비유를 들면, 예술적 경지에 이른 기능공이 하는 일은 힘이 들어 보이지 않으나 아주 물건을 잘 만드는데, 자기가 다루는 도구와 기능공 의 마음이 혼연일체가 되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즉 도구와 그 도구를 다루는 마음이 둘로 갈라져 있지 않고 하나로 일치되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근본적으로 물건을 만드는 것은 마음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기능공이 처음부터 그렇게 잘 한 것 은 아니고 잘 만들려고 하는 특별한의식이 없이도 저절로 잘 만 드는 경지에 이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확실히 현덕을 지닌 사람이 하는 일은 힘들이지 않고 큰 일을 할 것입니다. 도가 하 는 일이 아무것도 안하는 것 같지만 큰 일을 하는 것처럼 말입니 다. 이것을 깨닫는 것은 분명히 종교적 경지일 것입니다.] 제11장 無用: 비어있는 것이 참으로 쓸모있는 것. (1) 三十箇의 바퀴살이 하나의 바퀴통을 共有하느니라. 그런데 그 바퀴통이 비어있어 車를 쓰게 되는도다. (2) 찰흙을 이겨 그릇을 만들되 그 안이 비어있어 그릇이 쓸모있게 되는도다. (3) 문과 창문을 내어 방을 만들되 그 안이 비어있기에 방이 쓸모있게 되는도다. (4) 그러므로 有形한 것이 쓸모있게 되는 것은, 無形한 것이 쓰이기 때문이니라. [三十輻共一 ,當其無有車之用. 埴以爲器,當其無有器之用. 鑿戶엽以爲室,當其無有室之用.故有之以爲利,無之以用] [감상:여기서는 쓸모있음에 대한 근본적인 관점의 차이를 보여주 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노자는 有보다는 無가 더욱 쓸모있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의 관점을 180도로 다르게 보도 록 하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고 만져볼 수 있는 것만에 가치를 두고 눈에 보이지 않고 만져볼 수 없는 것을 무가치하다고 생각 하는 사람들의 관점과 얼마나 다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세가지 비유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절묘합니다. 바퀴통의 비어있음[無], 그릇의 비어있음[無], 방안의 비어있음[無]이 그것입니다. 無를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有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눈에 보이 지 않는 無가 더욱 가치가 있고 쓸모가 있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 게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