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쓴 이(By): phase (강 윤 석) 날 짜 (Date): 1993년02월03일(수) 18시02분22초 KST 제 목(Title): 오디오 구입 가이드 (7) #1963 양재권 (audioman) [가이드 7] 국내 오디오는? 01/02 02:04 101 line -조언 6- ## 국내 오디오 업계 탐방 ## 국산 오디오는 어떤 것이 좋을까? 언급했지만 인켈이 대체로 무난하다. 언론에서도 자신있게 인켈이 대한민국 최고의 오디오라고 하는 것을 보면, 더욱 분명하다. 인켈이 성공한 것은 우선 오디오전문메이커라는 점이 그렇고, 또 일찌기 전문대리점을 잘 운영하고 있고, 과거에 미제계통의 튼튼한 앰프를 조립해 왔던 기술의 축적 과, 또 셔우드를 인수한 것이 지금의 대한민국 최고의 오디 오업계로 성장하게 된 계기일 것이다. 롯데나 아남, 태광 처럼 뮤직센터 같은 오디오를 만들지 않고 오로지 하이파이 오디오에 전념한 것이 인켈의 이미지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할 수 있겠다. (인켈과 필자는 아무 관련이 없음을 밝힘) 반면 첨단제품 개발에 있어서는 가전사(특히 삼성)에 조금 뒤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대기업 VS 중소기업이라고 봤 을때,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령 CDP의 개발이나 DAT개발시기 등은 모두 가전사에게 뒤지고 있지만, 반면 또 열심히 연구하여 결국은 그 분야 있어서 최고가 되곤 한다. 인켈을 가장 칭찬하고 싶은 점은 트릭(?)을 안 쓴다는 점이 다. 언급했듯이 외형만 분리이면서 마치 정말 분리형인 것 처럼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를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단품으로 인기있는 오디오가 진정한 최고의 오디오이듯이, 인켈은 단품판매에서 가장 성공한 케이스라고 할수 있겠다. (롯데나 아남,삼성 등에서 하는 단품판매등은 자사 이미지 제고에만 관심이 있는 듯하다.) 보통 국산 오디오는 결론적으로 인켈이 선두, 다음이 롯데, 다음이 아남 또는 삼성의 순으로 인기가 있는 편이다. 한때 날렸던 태광 에로이카는 최근 뮤직센터 쪽으로 그 추 진방향을 돌렸다. 하이파이를 포기했다는 뜻이다. 롯데는 한때 파이오니아의 첨단기술을 등에 업고 우리나라 에 가장 먼저 첨단제품을 소개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약 100만원 전후의 오디오셋트 판매에 관심이 있는 듯 하다. (그것도 전원이 분리되지 않는 뮤직센터나 다름 없는 것 들.) 최근 대신 고급형 단품들과 스피커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데, 가격대 성능비가 안좋아, 인켈에 뒤지고 있는 형편 이다. 삼성은 가전사중 가장 오디오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 으로 뛰어들고 있지만, 하이파이쪽에는 인켈에 현저히 뒤지 고 있으며, 최첨단제품에서 다소 강세를 보이고 있다. 주력제품은 역시 미디콤포넌트나 미니콤포넌트,에이브이 시 스템, 미니 카셋트 계통. 특히 비디오나 TV 모니터등은 가 히 국내 최고라고 할 수 있겠다. 금성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CDP를 개발한 업체로 한때 의 욕적으로 출발했으나 현재는 다소 삼성에 밀리는 느낌. 최 근에는 디지탈 출력이 달린 CDP를 내놓기도 했는데, 국내 최초 개발 업체답게 CDP기술은 대체로 뛰어난 편. 미니콤 포넌트등 소형 오디오셋트에 주력하고 있다. 대우는 국내최초로 더블덱크를 선보였었는데, 요즘 은 거의 오디오는 포기상태(?)라고 할 수 있다. 가끔씩 디 자인이 멋진 시스템을 선보이기도 하는데, 대우 오디오는 유난히 인기가 없는 편이다. 대신 TV 모니터 쪽에 최근 의 욕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해태는 그 전신이 신방전자로서, CDP와 턴테이블을 전문적 으로 외국에 OEM수출하다 최근 내수시장에 참여했다. 해태 의 CDP는 국내 최고라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싼 가격의 제품 이 인기가 많으며, 해태 턴테이블은 비교적 국내에서도 많 이 알아주는 편이다. CP가 상당히 높고, 비교적 튼튼하게 만들어서 턴테이블은 많이들 찾고 있다. 아남은 최근까지 오디오쪽에서는 거의 타사에 상대가 되지 않다가 스피커 TL-3, TL-6와 델타 6000 셋트를 개발하면서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아남의 주력분야는 싼 가격에 많이 파는 것인데, 대체로 30에서 5,60만원대의 뮤직센터급 오디 오들이 태광과 경쟁하고 있다.(태광보다 인기 있는 것 같 다) 아직 하이파이 시장에서는 인켈 등에 상대가 되지는 않고 있다. 최근에는 에이브이쪽에 주력하고 있으며, 대형 TV분야에서만큼은 정상을 차지하고 있다. 샤프는 일제 샤프와 협력하여 주로 첨단기능에 승부를 걸고 있다. 즉, 음질보다는 (음질은 보급형에서는 다 똑같 다고 가정하고) 샤프 특유의 첨단기능으로 소비자를 유혹하 고 있다. 하이파이에는 관심이 없는 듯. 시장 점유율도 그 리 높지 않다. 다만 최근에 미니콤포의 성공으로 이미지상 승에 도움이 많이 된 것 같다. 에어로는 스피커 전문업체로서 미국의 교포학생의 특허로 만든 스피커이다. 이렇다할 스피커가 없는 상태에서 에어 로의 등장은 국내 업계의 스피커 개발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었고, 특히나 에어로705 스피커 같은 경 우 국내 베스트 스피커로 자리잡게 되었다. 다만 마켓팅 미숙으로 국내 최고의 스피커 업계로 완전히 정착하였다고 보기가 힘든 상태이며, 가격대 성능비가 좋지 못하여 널리 판매되고 있지 못한 점이 아쉽다. 최근 신제품이 몇 종류 나왔다. 그외에 SIS나 바로크,다니엘,백산 등이 있으나, 일반적이지 못하여 생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