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chopin (** 쇼팽 **) 날 짜 (Date): 2004년 1월 12일 월요일 오전 04시 02분 06초 제 목(Title): [계층구조론]이해-3.7 계층구조를 갖는 논리세계의 이해 [계층구조론] 이해란 무엇인가 - 3.7. 계층구조를 갖는 논리세계의 이해 <div id=l123___ style="absolute; width:600;"> 이해란 주어진 현상을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A->B 형태의 패턴화된 선형논리로 바꿔서 받아들이는 사고활동이다. 계층구조를 갖는 논리세계를 이렇게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패턴으로 표현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분자로 이루어진 거대한 지구의 대기현상을 어떻게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논리로 치환할 것인가? 천문학적 숫자의 세포로 구성된 생명활동을 어떻게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논리로 표현할 것인가? 이 문제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계층화된 논리를 선형논리 패턴으로 치환할 방법들을 잘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br> 계층구조의 논리세계를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선형논리로 치환하기 위해 이미 역사적으로 그리고 전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자. 여기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br> 첫번째는 선형논리로 구성된 계층을 찾아 그 계층 내부에서 A->B형태의 논리체계를 만들고 그것을 뇌가 이해하기 위한 패턴으로 사용하는 것이다(그림 20). 예를 들어 심리모델의 경우 뉴런과 같은 세포레벨의 지식 없이 그 윗계층에서 모델을 구성하고 설명할 수 있다. 성적인 억압, 잠재의식등으로 정신세계를 설명하는 프로이트의 심리학이 그것에 해당하고, 태풍의 크기와 움직임 방향 속도등으로 기상예측을 하는 모델도 그에 해당한다. 여기서는 더 낮은 계층의 논리가 동원되지 않기 때문에 모델이 간단하다. 하지만 모호한 개념들로 구성된 계층인 경우 그 계층을 정확히 설명할 모델을 만드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 방법은 얼마나 명확한 개념과 모델로 표현할 수 있느냐에 그 예측과 이해의 정도가 좌우된다. <br> <img src=http://brainew.com/writings/brain/hierarchyTheory/Understanding/[LogicHierarchy]WhatIsUnderstanding.files/image046.gif> 그림 20. 계층구조 논리세계의 이해 1: 선형논리계층의 발견. <br> 두번째 방법은 떨어진 계층간에 존재하는 선형논리를 발견하는 것이다. 계층구조의 논리세계에서도 여러 계층을 관통하는 수직적인 논리의 모듈화가 자주 발견된다(그림 21). 유전관련 법칙의 경우 이러한 예를 잘 보여준다. “유전자-a -> 유전질환-1”과 같이 “A->B”형태의 선형논리가 성립된다. 세포내 DNA로 구성되는 유전자들은 많은 유전질환의 원인을 직간접적으로 설명해준다. 유전자는 아주 낮은 계층인 세포내에 존재하는 개념이고, 유전질환은 인간의 외부행동에서 정의되는 높은 계층의 개념인데도 이 둘은 강한 연관성을 보인다. 그 이유는 유전자와 유전질환은 수직적인 모듈화에 의해서 선형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br> 유전자들이 서로 얽히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많은 이유는 진화적인 관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생물은 진화과정에서 유전자들을 돌연변이 시켜가며 더 좋은 개체를 만들어 내도록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유전자들이 분리되지 않고 모두 복잡한 관계로 얽히게 되면 하나의 유전변이에 의해서도 치명적인 돌연변이가 쉽게 일어나 그 개체가 사망하게 된다. 따라서 형질간의 여러가지 조합을 진화적으로 시도하기 위해서는 유전자들의 영향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전자 각각이 모듈화되어 하나의 외형이나 형질을 나타내는 매우 높은 계층에까지 수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br> <img src=http://brainew.com/writings/brain/hierarchyTheory/Understanding/[LogicHierarchy]WhatIsUnderstanding.files/image048.gif> 그림 21. 계층구조 논리세계의 이해 2: 수직적 모듈화에 의한 계층간 선형논리의 발견. <br> 이러한 방법들은 결국 최종적으로 A->B형태로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논리표현을 찾아내기 위한 것이다. 만일 이러한 방법 등을 동원해서도 적절한 계층과 개념들이 분리되어 나오지 않는다면 그 논리현상은 설사 컴퓨터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이해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해불능상태로 남게된다. </div> __ 쇼팽 e-mail: c h o p i n x e n a k i s 2 @ h o t m a i l . c o m homepage: http://brainew.com Copy right by author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