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parsec ( 먼 소 류 ) 날 짜 (Date): 2003년 12월 4일 목요일 오후 03시 44분 18초 제 목(Title): Re: [p]kaist 이흔 교수 논문, 사이언스誌 한 1년쯤 전인가, 매쓰매티카로 미방 플롯할 때 두 점의 평균치로 prediction을 하면 결과가 상당히 좋아진다는 것을 경험한 적은 있는데 이유는 잘 몰랐었죠. (퀴즈 보드에서 양치기 문제 풀다가 음함수 플롯하는 함수를 가지고 끄적거리다가 미방 플롯하는 함수까지 살짝 만들어 봤었죠.) 이걸 시도해본 이유는 그냥 X_n에서 예측하면 결과가 너무 나빠서.... 그냥 꽁수이거나 누구든 그 방면의 전공자라면 다 알고 있는 방법이겠거니 생각했었는데 역시나 이름이 붙어있는 방법이었네요 ^^ 스텝이 줄면서 에러가 대폭 줄어드는 게(:예제에서 보이듯) 증명돼 있는 건가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y the source be with you!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