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chopin (** 쇼팽 **) 날 짜 (Date): 2003년 10월 19일 일요일 오후 12시 39분 10초 제 목(Title): 미의 근원을 찾아 - 4. 아름다움 유발회로 결국 우리가 아름다움에 대한 본질적인 답은 그에 해당하는 뇌의 회로에서 찾아야 한다. 그럼 뇌의 어떤 회로가 어떻게 아름다움이라는 느낌과 감정을 만들어내는 것일까? 이에 대해서는 아직 어떠한 연구도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지금 당장 정확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어렵다. 단지 지금까지의 지식을 기반으로 해서 어떤 식의 회로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을 것이라고 어렵풋이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뇌의 많은 기능들은 부위마다 그 기능이 다른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름다움의 느낌을 유발시키는 회로도 뇌 어딘가 한 부위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본능적으로 크게 의존하는 다른 기능들과 마찬가지로 아름다움의 영역이 뚜렷이 구별되는 곳에 모여있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만은 없다. 아름다움이라는 것 자체가 청각, 시각, 언어마다 분야마다 그 형태가 완전히 다른 대상에 대해서 일어나는 것이라서 단일한 형태의 회로가 구성될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대단히 어렵다. 또한 각기 완전히 다른 대상으로부터 느끼는 아름다움이라는 감정이 모두다 동일한 감정인가에 대해서도 불확실하다. 음악에서 느끼는 아름다움과, 미술에서 느끼는 아름다움이 결국 동일한 아름다움 회로를 자극한 결과일까? 아니면 음악, 미술, 문학등등마다 각기 다른 아름다움을 유발하는 회로가 따로따로 있는 것일까? 극단적으로 다른 형태의 자극에 대해서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으로부터 유추해 볼 때, 아름다움의 회로는 그 입력은 다양한 곳에서 서로 다른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우리가 최소한 "아름다움"이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표현하는 것을 기초로 볼 때, 다양한 곳의 아름다움 전단계 처리 회로들로부터 연결이 시작되어 최종적으로 공통적 아름다움을 유발하는 회로에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둘 만하다. 또한 아름다움이라는 느낌을 받았을 때 공통적으로 그 것을 추구하는 행동양식이 유사한 면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은 아름다움을 유발하는 핵심적인 공통회로를 공유할 가능성은 그 만큼 더 높아진다. 아름다움 회로는 그 핵심에 아름다움 유발 회로가 있고, 입력으로 시각, 청각, 언어, 공간 영역 등으로부터 각기 다른 형태의 아름다움을 분석하는 입력이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으로는 아름다움에 대해 추구하는 행동에 영향을 주는 회로에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 그 출력회로의 구조는 아름다움이라는 근본적인 성격을 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아름다움 회로의 출력에 연결된 곳에는 그것을 추구하는 행동을 만들어내기 위해, 그 아름다움을 만들었던 자극과 관련된 기억들에 적절한 보상(reward)신호를 만들어줄 회로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렇게 아름다움을 만들어내는 뇌의 회로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가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에 아주 근접한 답들을 내어 주게 될 것이다. __ 쇼팽 http://mobigen.com/~chop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