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yearjin)
날 짜 (Date): 1994년07월22일(금) 13시45분10초 KDT
제 목(Title): 사찰에서 꼭 지켜야 할 예절


  
  . 불 교 예 절

1. 도량예절(道場禮節)
  [1]. 도량내에서는 뛰어다니지 않는다.
  [2]. 도량내에서는 음주.식육.흡연.고성방가를 하지 않는다.
  [3]. 도량내에서는 신을 끌면서 다니지 않는다.
  [4]. 도량내에서는 가래침이나 코를 풀지 않으며, 휴지를 버리지 않는다.
  [5]. 법당 앞을 지날 때에는 합장하여 허리를 굽히고 지나간다.

2. 법당출입예절
  [1]. 법당의 정문은 어간(御間)이라 하며, 그 사찰의 조실 및 주지스님 
       만이 출입하므로 신도는 옆문으로 출입한다.
  [2]. 신은 반듯하게 벗어 놓는다.
  [3]. 일단 법당에 들어서면 먼저 불전을 향해 합장하고 반배를 한다.
  [4]. 발을 옮길 때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한다.

3. 불전예절(佛殿禮節)
  [1]. 먼저 향 한 개비를 사루고(촛불을 켜기도 하지만 생략해도 좋음) 
       3배를 드린다. 이때 위치는 중앙을 피해서 선다.
  [2]. 향불의 불꽃은 입으로 불어 끄지 않고 손바람으로 끈다.
  [3]. 촛불을 끌 때도 두 손가락으로 불꽃을 잡거나 손바람으로 끈다.
  [4]. 앞사람이 방금 켠 촛불을 끄고 다시 새 촛불을 켜는 것은 옳지 못
       하며, 향도 여러 개가 피워져 있을 때는 생략할 수 있다.
  [5]. 자신이 올린 촛불은 다른 사람이 없을 경우 반드시 끄고 나와야 
       한다.
 
4. 법회 및 기타 의식 동참예절
  [1]. 전체의 조화를 깨지 않도록 자리를 정한다.
  [2]. 만약 늦게 도착한 경우에는 조용히 적당한 자리를 찾아 앉고 진행
       중인 의식에 맞추어야 한다.
  �3.�'� o8� 끄는 특별한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5. 사원의 생활예절
  [1]. 취침과 기상과 식사를 당해 사원의 시간에 맞추어야 한다.
  [2]. 식사는 음식을 남기지 않도록 받아야 한다.
  [3]. 치솔질을 하면서 다니거나 세수할 때 소리나게 침을 뱉고 코를 풀
       어서도 안된다.
  [4]. 신을 끌거나 바꿔 신어서도 안되며 반듯하게  벗어야 한다.
  [5]. 조석예불은 반드시 참석하여야 한다.
  [6]. 공동으로 해야할 일이 있을 때는 반드시 참여하여 함께 해야 한다.
  [7]. 모든 스님들께는 항상 합장예배를 해야 하며 옥외인 경우는 반배를
       한다.

6. 예배법(禮拜法)
  [1]. 절은 큰절(頂拜)과 반절(半拜)로 구별한다.
  [2]. 반절은 선채로 두손을 모아 가슴에 대고 손가락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며 손끝은 코끝 앞을 향하게 하고 적당히(약 45도) 허리를 굽힌다.

  [3]. 큰절은 합장을 한 채로 허리를 굽히지 않고 상체를 내려서 무릎을
       꿇고 두 손을 앞으로 내밀면서 이마를 바닥에 댄다. 이때 발바닥이
       위로 올라오게 하며, 발은 서로 X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일어설
       때는 역순으로 하면 된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