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chyoo (문사수)
날 짜 (Date): 1995년07월03일(월) 13시32분23초 KDT
제 목(Title): [묵조선]


묵조선

달마에서 육조혜능까지는 화두선이란 선은 없었습니다.
화두선이 있은 후에서 부터 묵조선이란 말도 나온 것 입니다.
화두선이다 묵조선이다 혹은 염불선이다라는 말들이 있어도
모두 다 선일 뿐입니다.

묵조선이란 것이 사념을 바라보는 것이라는 말은
와전된 말입니다. 묵조선은 사념을 그대로 내버려두고
사념과 사념의 사이를 바라보는 것입니다.
참된 수식관이 호흡을 보는 것이 아니라
호흡과 호흡의 틈을 보는 것(사십이장경) 처럼
선이란 곧 사념과 사념 사이를 보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념과 사념 사이를 내가 본다고 하는 한에 있어서는
도저히 볼 수 없기에 내가 본다고 하는 그 마음을 뿌리 뽑는 것이
화두입니다. 그러므로 화두에는 답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화두란 것이 무턱대고 아만심을 뿌리 뽑는 것은 
아닙니다. 아만심을 뿌리 뽑을 수 있는 간접타가 
화두에 담겨 있습니다.

제가 묵조선을 한 사람이라고 말씀하셨지만
어떻게 말들하건 그건 상관이 없습니다. 묵조선을 하건
화두선을 하건 염불을 하건 다 선하는 것이고 모두
같은 것입니다. 아만심을 뽑는 것입니다.
진리가 어떻다 도가 어떻다라는 것은 아만심이 있는 상태에서는
아무리 그럴 듯하게 말해도 다 헛다리를 집게 되지만
아만심 하나만 해결하면 머리를 쓰지 않아도
그냥 그대로 다 진리아닌게 없음을 알게 됩니다.
그럼 그때 오매일여나 몽중일여를 말할 수 있게 됩니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