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Mind ( 이승환)
날 짜 (Date): 1995년07월01일(토) 12시34분28초 KDT
제 목(Title): [수행] 문사수님의 수행 -1


제가  이해하기로   문사수님의 수행방법은  묵조선이라  하신  것 같습니
다. 그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저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이 예의이
겠군요.  저는  문사수님의 구분방법으로  구분하면 간화선의  수행방법을 
택하고 있습니다.

우선 그저 생각을  내버려두고 그것을  지켜봄으로써  자기 자신이 부처임
을 알게  된다고 하셨는데 생각하는    것도  나이고 지켜보는 것도  나인
데 어찌 내가   나를 그저  지켜보려고  한다고  해서 미망에 덮인 불성이 
드러날 것입니까.

또한 간화선에서 화두를   지켜본다고 했는데  관법이   아닌 이상 화두는 
지켜보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의심을  끊임없이 일으키는 것입니다. 그
것은   두껍게  덮인 미망을 제거해가는   과정이지  화두를 든다고  해서 
불성을 보고 있다거나  하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미망이 완벽히 제거되었을 때 불성은 드러납니다. 어찌 미망이  수천
길이나  덮여   있는 상태에서 그냥    부처가 된다고   하십니까. 그러한  
미망이 하루이틀에  그저   평상시의  욕망에 뒤덮인 마음속에서 제거된다
고 하십니까.

수행은 단계가 있는  것입니다. 미망 속에  그대로  찌들어 욕망에 허덕이
는  수행자와   거의  모든 미망이 제거되어    청정한 불성이 본모습으로 
드러날  때가 가까와진  수행자가  어찌 같다고 하십니까.

행주좌와어묵동정일여란 그중  한 단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단계가 있
다고  해서 어렵다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수행자의 수행이 이러한 단
계에  이르면 크나큰  미망이  어느정도 제거되어 마음에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단계를 말한 것입니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