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han (무지 ) 날 짜 (Date): 1995년02월19일(일) 17시39분06초 KST 제 목(Title): 라즈니쉬: 명상이란 전에 제가 읽던 라즈니시의 글중 제가 읽기에 좋았던 명상에 관한 부분을 시간있을 때 마다 올려보려합니다. 맘에 안드시면 그만 두라 하세요. 출처: Swami Krishna Prabhu, ed., Don't Let Yourself be Upset by the Sutra, Rather Upset the Sutra Yourself, Oregon: Rajneesh Foundation International, 1985. 1st. edition 위 책은 라즈니시가 제자에게 법명을 주면서 설법한 것을 모아 책으로 발간한 것입니다. page 125. 라즈니시: (Henk에게) 내게 가까이 오려므나. 나를 좀 쳐다보아라. 그래 그래. 자! 이게 네 법명이다. Swami Dhyan Henk. 디얀은 명상을 뜻하지, 아무 생각도 없는 마음의 상태가 명상이야 (Dhyana= 선나). 마음이라는 것은 우리의 사고가 흘러가는 거야, 명상이라는 것은 아무 생각도 없는 것이고. 깊은 잠 속에서도 아무 생각이 안나기는 하지. 그렇지만 명상이 잠자는 것 같이 멍청해지는 것을 뜻하지는 않아. 명상이라는 것은(생각이 없다는 점에서) 깊고 깊은 수면과 비슷하지만 잠자는 것과는 달라. 도리어 명상은 대단히 깨어있는 상태를 말해. 우리의 생각은 두가지 극단적인 경우에만 사라지지: 하나는 네가 아주 깊이 잠이 들었을 때야. 그때는 생각이라는 것이 없어지지. 명상은 수면에 빠지는 것과는 정반대쪽으로 가는거야. 점점 마음이 깨어나고(aware), 각성되어(alert), 정관할(watchful, 고요히 살펴볼) 수 있는 상태로 가는 거지. 그리고 점차, 점차로 너의 마음이 또렷해 지면 마음속에는 점점 생각(thought)이라는 것이 적게 일어나게 된단다. 그리고 어느날 갑자기 스스로 아무 생각도 일어 나지 않는(무념무상) 경지에 다달았음을 알게 될 꺼야. 그러면 정말로 네가 깨어있다는 의식을 갖게 된단다. 사실 무념무상일때 사람들은 살아 처음으로 의식(consciousness) 즉 깨어있음이 무엇인지 알게되지. 네가 의식이란 말을 어찌 써왔던지간에, 네가 알던 의식이란 의식전체의 조그만 일면이야. 혹 그걸 굳이 의식이라 한다면 형편없는 의식이라서 의식이라고 부를 가치조차 없는거겠지. 빙산의 일각이라고나 할까. 무념의 상태에서는 의식 전체를 보게되고, 그 전체성속에서만 스스로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거란다. 그리고 그 것이 네이름 Henk가 뜻하는 것이고. 네이름 Henk에는 집의 주인이라는 뜻이 있단다. 우리의 몸과 마음은 집과 같지. 그리고 그 집 깊은 곳에는 현상계 저 넘어 에서 온 손님이 있어. 원래 너이지만 지금 네가 부분적으로만 인식할 수 있으니 지금 너에게는 잘모르는 손님일 수 밖에 없지. 그 손님이 주인이 되어야 해. 사실 지금 너에게 그는 손님이 아니라 종만도 못하게 있단다. 왜냐하면 네 의식이 깊은 잠속에 있는 것 같이 전혀 주인이 있음을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야. 그래서 보잘 것 없는 조그만 의식 조각(종)이 주인노릇을 하고 있고. 사문의 길은 깨어나서 깨달음(awakening)으로 가는 학문의 길이요, 참 주인인 종이 주인이 되도록 하는 길이란다. 명상이 너게는 쉬운 길이야, 어렵지 않아. 모든 사람들에도 그런 것은 아니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사랑 (love)의 길이 쉽지. 그 럴땐 사랑이 그들의 깨달음을 위한 길이란다. 또 다른 사람들에게는 춤이 쉽고 음악이 쉽고 그러면 그들에게는 그 것을 정말로 즐기는 것(celebration)이 그 들의 길이 되겠지. 네게는 명상이 너의 길이야. 명상이 네게는 자연스러운 길이야. 적은 노력으로도-아주 적은 노력으로도 네게 큰 결과를 가져 올 수가 있단다. ........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