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Tesak (   )
날 짜 (Date): 2000년 9월 28일 목요일 오후 12시 28분 30초
제 목(Title): Re: 금성의 기압

그렇다면 높은 금성의 기압에 대한 직접적인 답은, 금성 대기의 양이
지구대기의 양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많다이겠군요. 쌓인 공기의 양이
그지점에서의 표면기압을 결정하니까 말이죠.

금성에서 대기의 양을 늘려준 (지구와는 다른) 직접적인 요인은
금성의 '온도'가 높아서 많은 기체를 공급할 수 있었던 것이고
금성의 온도가 높은 이유는 위의 게스트가 설명하신대로 Runaway 
Greenhouse Effect, 여기서 대기 성분이 들어갑니다. 단지 무겁기 
때문이 아니라, 적외선을 흡수하여 온실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그런 기체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기체분자가 무겁다는 것은, 공기를 더 무겁게 만든다(공기의 분자 개수가
같을 때)는 점과, 분자속도가 작아(주어진 온도에서) 이탈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에서 높은 기압에 일조할 수는 있겠지만, 금성표면의 높은
기압의 직접적인 이유로 보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