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oneday (9-fingers) 날 짜 (Date): 2003년 3월 14일 금요일 오후 03시 59분 37초 제 목(Title): [q] 질량 안녕하세요 *꾸벅* 또 질문입니다. 제가 곧 교육대학원으로 진학할 예정이라 고교 물리화학쪽을 다시 공부하는데요 예전에 그냥 넘어갔던 것들이 자꾸 궁금해지네요 -_-;; 질량은 어떻게 정하나요? (고교참고서에 보면 질량은 어디에서 측정하든 변하지 않는다라고 하더군요. 양팔저울이나 윗접시저울로 측정하구요. 이것까지는 예전에 그냥 외우고 넘어갔었죠..) 그런데 관성질량을 구할때도 정확한 F 와 a를 구하기 어려우니까 정확한 m 을 구할 수 없을것같고 중력질량역시 마찬가지 일것 같거든요. 특수상대성이론에서도 m=m(0)/(1-V^2/C^2)^(1/2) 인데 m(0) 나 v 를 정확하게 어떻게 구할수 없을테니 m도 정확하게 구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분동으로 측정한다고 할때 그 기준이되는 게 킬로그램 원기인데 그 걸 찾아보니 ======================================================================== empas 백과사전에서 보면 백금 90%, 이리듐 10% 합금으로 되어 있다. 4℃, 1ℓ의 순수한 물의 질량을 1kg이라 할 때의 백금 원기둥 표준기가 1799년에 만들어졌는데, 이를 잘시브의 킬로그램이라고 한다. 1889년의 제1회 국제도량형총회의 결의에 따라 잘시브의 킬로그램과 일치하는 것을 국제킬로그램원기라 하고, 이 원기의 질량으로 1kg을 정의하기로 하였다. 본 원기는 높이 ·지름이 각각 39 cm인 원기둥체이고, 국제도량형국(파리 교외 소재)에 보관되어 있다. 원기와 똑같이 만들어진, 정밀하게 비교 ·측정된 부원기(副原器)가 미터조약 가맹국에 분배되어 각각 그 나라의 원기로 사용되고 있다. ========================================================================== 라고 되어 있는데요. 90:10 의 합금을 만드는게 가능한가요? 순수한 백금 과 순수한 이리듐을 만드는것도 어려울텐데 그것을 90:10으로 합금한다는것은 더 어려울것 같거든요. 합금할때 녹이고 식히고 하는과정에서 다 변해버릴것 같은데... 똑똑한 경시대회 준비하는 녀석에게 질량을 뭐라고 설명해주는게 제일 좋을까요? ㅡㅡa 쓰고나니 너무 횡설수설했네요. 오 램프불 밑에선 세상이 얼마나 크며, 추억의 눈으로 보면 얼마나 작은 것이랴 Ah! que le monde est grand a la clarte des lampes, Aux yeux du sovenir que le monde de est petit. ----------------- Baudelaire, Le Voy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