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babs (창조가)
날 짜 (Date): 2001년 11월  2일 금요일 오후 02시 26분 09초
제 목(Title): 공을 아주 높이 던졌는데도 제자리에 떨어�


[질문] 하늘을 향해 아주 높이 공을 던져올렸을 때 지구의 자전과 상관없이
제자리로 공이 떨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것처럼 하늘을 향해 던진 공이나 구슬은 제자리로
떨어집니다. 이것은 관성의 법칙 때문입니다. 즉 손에서 공이 떨어져도 관성
때문에 지구의 자전만큼 공도 역시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주" 높이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사람이 공을 지상에서 1백km 높이로 던질 수 있다고
합시다. 이 때도 공이 손에 그대로 떨어질까요?
지구 주위에는 대기권이 있습니다. 대기권으로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져 저항이 줄어듭니다. 또한 아주 높은 상공의 대기는 지구의 자전과 
완전히 동일하게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아주" 높이 던진 공은 
제자리로 떨어지기 힘들 것입니다
--------------
여기서 의문을 제기합니다.
관성보다 중력의 영향 아닐까요?
만약 지구 자전이 정지해 있다가 물체를 띄우고 자전을 시작하면 물체는
어떻게 될까요?
혹은 지구 자전이 갑자기 멈춰버리면 풍선은 어떻게 될까요?
아니 엄청난 바람이 불어야 겠군요. 근데 그럴거 같지 않네요?
공기가 지구랑 함께 돌고 있는 이유가 관성이 아니라 중력때문아닌가요?
따라서 지구자전이 멈춰도 중력엔 변화없으므로 특별한 바람은 불지 않는다..
어케 생각해여?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