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hahaha) <dor20611.kaist.a> 날 짜 (Date): 2001년 5월 17일 목요일 오전 02시 00분 06초 제 목(Title): Re: 이중슬릿 실험 여러 분이 답변 써 주셨는데.. 감사드립니다.. (아 그리고 soulman 님 저는 하이텔에 아디가 없습니다^^) 일단.. 궁금한 것이.. a. 포톤 하나만을 컨트롤할수 있다고 치고.. 단 한개를 쏴주어도 이중의 피크 패턴이 나타나느냐... (실제로 네이쳐에 싱글포톤 디텍트에 대한 논문이 실렸던 걸로 아는데) (저는 하나만 쏴줄 때는 안 나타난다고 알고 있거든요..) b. 만약에 a 의 답이 "안 나타난다" ..즉 그냥 한 개의 spot 으로 나온다이면 .. 이 시점까지의 결과만을 두고 볼 경우에.. 쏘아준 포톤이 "순전히 입자" 라고 해석하더라도 아무 이상할 것이 없지 않느냐.. 하는 것인데요.. 그럼 여기서 알쏭달쏭한 것이.. 드브로이의 물질파 아이디어랑 매치가 되는지 하는 겁니다. 드브로이 물질파 아이디어는.. 입자 "하나하나" 에 대한 기술 아닌가요? 그런데 위와 같은 방식으로 이중슬릿실험을 이해한다면 드브로이 아이디어가 이 실험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아무 쓸모가 없게 되잖아요.. 입자 하나하나가 갖는 파동성 이 아무 효과(?) 를 발휘하지 못하니까요.. 혹시나 입자가 갖는 파동성이, 많은 수의 포톤을 쏴줄 경우에 보이는 경향 그 자체를 말하는 게 아닌가 생각해봤는데.. 그건 아닌 거 같거든요. 정말 그렇다 면 양자역학 그 자체가 별로 생각할 거리도 없는 게 아닌가 싶은데요.. 양자역학 알게 된지 얼마 안 되는 학부생이니 질문이 좀 말이 안 되더라도 이해 해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