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alaryMan ] in KIDS 글 쓴 이(By): tkhong (무명) 날 짜 (Date): 1998년 11월 2일 월요일 오후 06시 01분 41초 제 목(Title): Re: 삼성자동차주식질문 신문의 작은 광고란 같은데 보면, 주식 삽니다. 혹은 팝니다 같은 광고가 나옵니다. 거기에 전화해보면 장외거래 시세를 대충 짐작 할 수 잇습니다. 단, 여러군데 전화 하셔야 할겁니다. 브로커 마다 가격 을 조금씩 다르게 부르기 때문에, 많이는 10프로 이상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참 장외 거래 되는 주식들도 전반적인 흐름은 상장된 주식 경기 하구 비슷합니다. 그러니까 증시상황이 좋을때 팔면 조금이라도 값을 더 받을 수 있죠. 그리고, 저의 의견을 말하자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때 저같으면 삼성 자동차 주식 가지고 있지 않겟습니다. 걍 시세 조금이라도 괜찮을때 파세요. 얼마전 모 잡지에서 보니, 세계적으로 잘나가는 자동차 회사 구조를 분석 해 놓은게 있던데,. 잘 나가는 차회사들은 아주 대량 생산을 하는 회사거나 소량, 고급 차종을 파는 회사로 양극화 되어 있더군요. 그러니까, BMWBenz같은데와, GM, 도요다 같은데로요. 그외에 그냥 중저가형 자동차 1~300만대 생산하는 회사들 치고는 경영 이익 내는 회산 거의 없더군요 분석에따르면, 아주 고부가가치 차만 소량 생산하든지, 아님 중저가형차를 생산하려면, 연구 개발비 뽑으려면 적어도 연산 300만대 규모는 되야 규모에의한 가격 경쟁력이 생긴다더군요.. 그런 면에서 이번 기아 현대 인수는 장기적으로는 현대에게 잘된 일 일거 같습니다. 반면 삼성은 뭐 투자 이익이야 요원한 일일테고, 영업이익두 요원할테구 그렇다구 지가 상승에다른 자산 증가 같은것두 기대하기 힘들거 같구,. 자본금도 엄청나니까, 장사 잘된다 치더라두 얼마 오를거 같지도 않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