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xLife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W2lcome) 날 짜 (Date): 1997년10월16일(목) 18시01분54초 ROK 제 목(Title): 우리나라의 성문제 (1) 우리 사회의 성문제라 하면 성의 상품화와, 페미니즘의 상품화 그리고 성에 있어 의사소통까지도 상품화 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으로는 매춘, 정신대, 낙태, 포르노, 성폭력 등의 문제가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임신, 자위, 가치관의 혼란, 성폭력 후유증, 성벙등의 문제로 나눠 본다. 성을 나눠본다면, 생물학적 성인 SEX, 사회학적 성인 GENDER, 그리고 성 일반을 말하는 SEXUALITY 로 분류하게 되는데 이중 SEXUALITY의 문제를 다루어 보도록 하자. 1. 성의 인식 우리 사회는 현재 성을 금기시 하는 사회이다. 부부사이의 건강한 성관계를 제외한 나머지를 과장되고 삐뚤어진 성으로 표현하며 부정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건강하고 바른 성을 가르쳐야 할 부모님, 선생님, 종교 등이 잠잠한 동안 청소년들은 왜곡된 성을 배우게 된다. 성을 지나치게 신비한것, 더러운것, 감출것으로 인식해왔고 교육도 임신, 출산, 순결, 성별에 한정되어 왔다. 대중매체에 의해서 성은 더욱 왜곡되고 과장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는 '성은 자연히 알게되는것'으로 하여 금기시 해왔다. 이제는 감출것이 아니라 보통사람의 건강한 성을 말해야 한다. 외국의 성에 관한 자료들을 잠시 살펴보자면, 먼저 76년의 카톨릭계에서는 "자신을 해방시키고, 타인을 풍족하게 하고, 사회의 책임감을 수반하고, 생을 풍요롭게 하는데 이바지 하는 성은 어떤 형태를 띠든지 합법적인 것이다."라고 발표 한 바 있다. 덴마크에서는 유치원때부터 피임법을 가르치고 미국에서는 대학 오리엔테이션시에 강간, 이성교제, 성폭력의 교육을 하고 있다. (다음에 계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