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oto ] in KIDS 글 쓴 이(By): terzeron (microkid) 날 짜 (Date): 2005년 7월 5일 화요일 오후 01시 10분 35초 제 목(Title): Re: 링링님과 논의했던 문제에 대해 > 부분적으로 정수연산을 사용했을 가능성에 더해, 전체를 부동소수점 > 연산으로 했을 때도 왜 16bit mode가 8bit mode보다 이득인지 다 > 이야기하지 않았던가요? 저 앞에 적었던 아래처럼 말이죠. truncation도 같이 생기는 게 이득일까요? 단순히 빠르기만 하면 이득일까요? 그리고 이게 주된 논점이 아닙니다. 16비트의 유용성에 대한 이야기인데 고정소수점의 유용성을 말씀하시면 논점에서 벗어난 거죠. > 그리고, 여기서 계조가 좋다는 표현은, 지금 이야기했던 맥락에서는 > 상당히 애매한 표현입니다. 포토샵이 화상데이터를 내부적으로 > 16bit으로 32bit으로 가지고 있건 화면에 표시되는 계조는 8bit > 이니까요. 왜? PC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8bit 장치이므로... 즉, > 포토샵이 16bit mode여도 인지되는 계조에는 이득이 없고, 실제로 > 이득을 보는 것은 여전히 연산처리인 것이죠. > 그래서, 포토샵 개발자가 아니라서 확정적이지 못한 면이 일부있지만, > 16bit mode의 이득에 대해서 검토할 것은 충분히 검토했습니다. PC 디스플레이가 8비트라고 단정하시는군요. 요즘은 모니터도 10,12비트로 출력되는 게 있고, 그래픽카드도 16비트를 당연히 지원합니다. > 전체 부동소수점 연산이라도 ^^^^^^^ 표시 된 곳에서 truncation이 > 일어납니다. 그러니까, 전체 부동소수점 연산일 때 8bit mode냐 16bit > 모드냐가 이미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바로 여기죠. > 이것은 넓게 보면 제가 처음 이야기했던 연산 truncation에 해당하기도 > 합니다. 연산 결과를 저장하면서 발생하는 truncation도 연산 truncation으로 > 볼 수 있으니까요. 이 이야기는 왜 계속 하시는지 모르겠군요. 그 truncation이 발생하는 연산이 얼마나 포토샵에서 쓰이겠습니까? > 그리고, 제가 8bit jpg 파일도 종종 다뤄보는데 밴딩 현상이 그렇게 > 쉽게 나타납니까? 예가 될 수 있는 파일 하나 메일로 보내주실 수 > 있나요? 메일주소는 limelite@hanafos.com 입니다. 없습니다. 하지만 노출과다/부족인 사진은 8비트로는 오토레벨만 해도 밴딩 현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 해석하기 나름이겠죠. 자기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잘 인정하면서 > 발전적인 토론을 하자는 제안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고, 빈정거림으로 > 받아들일 수도 있겠죠. 제 처음 의도는 제안에 가까운 것이었는데, > 갑자기 빈정거림으로 받아들여도 상관하고 싶지 않아지네요. -_-; 무조건 청자의 탓입니까? 토론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혼자 정리되었다고 하시고, 토론 상대에 대해 '굉장히 애매하고 부정확하게 이해하고'라고 말씀하시는데 이게 빈정거림이 아닙니까? 그럼 제가 반문하죠. "limelite님께서는 이 쓰레드에서 애매하게 말씀하신 적 없고, 부정확한 적 없으셨습니까?" 이런 질문을 받으면 당연히 기분 나쁘지 않으신가요? 이런 게 빈정거림입니다. --- 어떤 성취가, 어떤 조롱이, 또는 어떤 고뇌가 나를 기다리고 있을지 나는 모른다. 나는 아무 것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아직 과거의 경이로운 기적의 시대가 영원히 과거의 것이 되어 버리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굳게 믿고 있다. - Stanislaw Le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