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veNfreindship ] in KIDS 글 쓴 이(By): chaos (수리샛별) 날 짜 (Date): 1993년12월24일(금) 15시16분16초 KST 제 목(Title): 평생 혼자밖에 살 수 없는 사람들. 제 목 : 평생 혼자 밖에 살 수 없는 사람들 <잘못된 결혼관> 요즈음 젊은 숙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다른 조건은 어찌되었든 즐겁고 안락한 결혼 생활을 하고 싶다는 말을 많이 한다. 즉 결혼상대자에게 거는 조건 으로써 물질적인 풍부함을 첫째로 들고 있다는것이 그 단적인 예라 볼 수 있 다. 축척된 재산이 있고, 월수입이 수백만원에 달하며, 자가용과 별장을 소유 하고 있지 않으면 남자 축에 끼지도 못한다고 할 정도로 철없는 생각에 만연되 어 있다. 이밖에 중요한 조건으로써 그녀들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키는 175센티 이상이고, 안경도 쓰지 않아야 하며, 학교는 학부 졸업에그것도 일 류대 출신이어야 하고, 적어도 세련된 외모에 만능 스포츠맨은 못된다고 해도 적 어도 말을 탈 줄 알아야 하며.... 이런 식으로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모두 몇이나 갖추고 있어야한다면 이 세상에 결혼할 만한 남자가 과연 몇이나 되겠는가.남자는상품이 아니라. 그리 고 그런 조건을 내세우기 전에 자신을 한번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적당히 흰 피부에 각종 화장품으로 도배를 해놓고, 수십만원짜리옷을 걸쳤 다고 해서 모두 미인은 아니며 뉴모드의 세련된 숙녀가 아닌것이다. 오히려 이런 욕구는 천박한 인상을 줄 수도 있고 자신으로서채우지 못한 어떤 면모를 대리소 유함으로써 비슷한 레벨에 서보겠다는 허황한 심리는 아닌가 반성할 필요가 있 다. 예를 들면 의사나 변호사는 돈을 잘벌기 때문에 다른 조건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식인데 이러한 사고 방식이 젊은여성들 사이에 열병과 같이 퍼져나가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결혼적령기의 남자로서 의사나 변호사 를 몇이나 본 적이 있는가. 그것은미국에서의 이야기이고 그것도 의사가 변호 사가 전부 그러한 것은 아니다. 우리의 경우에는 그의 실력보다는 부모 덕분으 로 그러한 조건에어느 정도 합당한 소수의 인원이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 여성들은 외국에서 들어온 소설, 영화, 텔레비전 프로에 현혹되 어 아르바이트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젊은 의사나 박봉의 변호사의 실정을 너무 나 잘 모르고 있다. 또한 결혼 상대로서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늑대타입의 직업인이다. 아 침에 출근해 상사의 지시에 순응할 필요없이 제마음대로 살아가는 소위 자유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타인과 다른 재능을 구사해서 명성을 떨친다는 것은 좋은 일 이겠지만 정상적인 사람들을 비웃으며 쨍하고 해뜰날만 기다리는 어줍지 않은 예술가, 팔다리를 보험에든 스포츠맨이라도 인기가 있을 때는 좋지만 부상으로 활약할 수 없게되면 끝장인 체육인도 사실은 문제가 있다. 부인의 몸이 가루가 될 정도로 일을 해서 불편한 남편을 보살피고 노부모 와 어린 아이를 부양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 같은 세상에 과연 그렇게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 여성이 몇명이나 있을까? 그러므로 남편의 직업은 저울에 달았을 때와 마찬가지로 기울어질 때의 일 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좋은 점만 보고 나쁜 점은 보지 않는 것은 사회를 잘 모르는 소치이다. 한평생 밑바닥 생활만 하고 계장도 되지 못하는 무능한 남자의 부인이 되 는 것보다는 사장 부인, 장관 부인이 되면 잘 살수 있으리라고 생각하지만 반드 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 눈에 띄게 출세한 남자는 그 과정에 있어서도 그러했고, 성공해서 이름을 떨친 후에도 아내가 남편을 위해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또 요구하고 있다. 그 좋은 예가 선거 때 입후보자의 부인들이다. 그 여자들은 장래성이 있는 남자와 결혼했지만 결국은 남편을 위해 자신을 포기한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엇인가 이루기 위해 마음을 조이 고, 땀을 보람이라고 생각하고, 눈물을 인내와 의지의 결정체라고 여기며 열심히 일하지만 그 명예는 남편에게 돌아가는, 그늘진 인생의 장본인들이다. 그러므로 명성이나 부를 얻으려는 남자는 내조의 공, 부창부수를 아내의 가 장 큰 미덕으로 찬탄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인생이 반드시바람직한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이상적인 남성타입> 생애를 함께할 남편의 조건으로 꼽아야 할 것은 다른 것이다. 여자 혼자서 생활하는 것보다는 남자와 생활하는 것이 즐겁고,재미있고, 의지가 되어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마음을 편하게 해주며 이해심이 많은 남성, 그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부드럽고 다정다감하며 유머감각과 센스가 없으면 이 상적인 남성 타입에 들지 못한다. 요는 현명하고 지적인 사람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마음이 맞는 사람,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 의기가 투합되는 사람이 자신에 게 알맞은 남편감이다. 또한 큰소리를 내지 않고도 대화를통해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사람, 불쾌감이나 혐오감이나 위화감같은 것을 느낄 수 없는 사람 이 아니면 안된다. 흔히 싸움을 하면 애정이 깊어진다고 말하는데 그것은 거짓말이다. 싸움을 하면 상대를 미워하게 되고, 이쪽에서 미워하는 마음이 있으면 저쪽에서도 자연 히 싫어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이다. 얼마쯤 시간이 지나 다시 좋아진다고 해도 박자가 맞지 않을 때는 그 미워하는 감정이 되살아난다. 그것은 결코 없어지지 않는 상처와 같은 것이다. 사이가 다시 좋아져도 한번 받은 아픔은 절대로 사라 지지 않는다. 원인이 무엇이든지 간에 싸움이라는 것은 달콤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단 하루라도 마음이 맞지 않는 사람과 함께 산다는 것은 크나큰고통이다. 이점만은 결혼 전에 꼭 알아두어야 한다. 성격차이로 자주말다툼을 하고 서로에 게 상처를 남기는 일이 있다면 설사 사주단자를교환했다 하더라도 파혼하는 것 이 두 사람 모두를 위해 좋을 것이다. 태어나게 될 아이를 이혼의 피해자로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사전에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 김영희 저 <여성의 결혼 심리>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