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veNfreindship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ex-god) 날 짜 (Date): 1994년03월15일(화) 01시14분02초 KST 제 목(Title): 사랑의 화학 ( The Chemistry of Love ) The Chemistr4y of Love - Time 지 1993. 2.15 발간호에서 - 인류의 탄생이래로 사랑이라는 것은 과학의 영역에서 연구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 이유에는 비슷한 감정의 발로인 공포나 화냄등은 적절한 기 계와 방법으로 측량할 수 있는데 비해 사랑은 측정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인 것 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사랑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AIDS의 만연에 의한 공포에서 과연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인가에 대 한 의구심이 커졌기 때문인 것이 한 가지 이유이고, 또 하나의 이유는 여성 학 자들의 비중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유야 어찌 되었든간에 사랑에 대한 연구로부터 사랑은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처럼 특정문화에만 존재하는 것 이 아니라 범인류적으로 존재한다고 깨닫게 되었다. 사랑의 진화적 기원에 대해 인류학자, 또는 심리학자믈은 인류의 생존에 필 수적인 요소로서 사랑이 형성되었다고 생각한다. 인간처럼 독립된 성인이 되기 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리는 생물은 아이를 기르기 위한 파트너가 필요하게 되 고 파트너의 결속은 사랑이 있음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 원시시대의 부부는 아이가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만 짝을 짓고, 아이가 크게 되면 헤어져 새로운 파트너를 찾아 다시 처음부터 시작한다. 사랑을 하게 되면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사랑하는 사람끼리 만나서 서로 응시할 때의 심신의 변화는 사랑의 감정이 없는 상대와 만났을 때 의 변화와 비교해 보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면 과연 이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관련 과학자들은 사랑의 증세, 예를 들면 손에 땀 이 난다든가, 정신이 몽롱해진다든가 하는 느낌은 화학물질의 분비에 의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랑하게 되면 처음에는 amphetamine 의 일종인 dopamine, norepinephrine, 그리고 특히 phenylethylamine(PEA) 가 분비되어 전술한 심신 의 변화를 야기시킨다고 한다. 그런데 똑같은 강도의 느낌을 받기 위해 필요로 하는 PEA 의 농도는 점점 증가되어 (마치 신경이 반응할 수 있는 외부 자극의 역치가 점점 증가하듯이) 종래에는 필요로하는 양 만큼의 PEA 를 만들어내지 못하게 되고, 여기서 사랑은 끝이 나게 된다. 이 기간은 대략 3~4년 정도로 결 혼 4년째에 이혼율이 가장 높다는 통계적 사실과도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현 상을 four-year itch 라고 한다.) 만약 이 기간 동안 아이를 갖게 되면 결합은 조금 더 연장되게 된다. 그러면 어떻게 하여 많은 부부가 4년 이상의 긴 세월을 같이 살게 될까 하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PEA의 생성에 의한 사랑은 거품 또는 불꽃같은 열정적인 사랑으로 (passionate love) 로 오래 지속되지 않지만, 파트너의 계속적인 존 재는 endorphin 의 분비를 증가시키게 된다. Endorphin 은 마음을 평안하게 해 주는 물질로 사랑하는 사람에게 안심감, 평화 그리고 고요함을 느끼게 해준다. 이와같은 성숙한 단계의 사랑을 동정적인 사람 (compassionate love) 라고 한 다.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의 심리학 교수인 Mark Goulston 은 초기사랑 (passionate love)은 상대방이 주는 느낌에 의해 하는 사랑이고, 성숙한 사랑 (compassionate love) 은 상대방 그 자체를 사랑하는 것이라고 하 였다. PEA 와 endorphin 이외에도 oxytocin 도 사랑에 관여하는 물질이라고 한 다. 만약 화학물질이 passionate love 와 compassionate love 를 설명할 수 있다면� 사람이 일반적으로 한꺼번에 여러명을 사랑하지 않고 한 명만을 사랑하는 이유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는 부분적으로는 진화적, 생물학적 기능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상대방에게서 최대의 생식력을 추구 한다. 따라서 남자는 17세에서 28세의 여성을 선호하게 되고 빨리 사랑에 빠지 게 된다. 반면에 여성은 남성에게서 추구하는 것이 복잡하여 (여러가지를 생각 하기 때문에) 사랑에 빠지는 속도가 느리다. 나이는 지극히 중요한 인자가 아 니다. 여성이 추구하는 것은 안심감을 줄 수 있는 능력, 아버지로서의 능력, 물질을 공유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사회적 신분등이 모두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왜 비슷한 조건의 여러 사람들 중에서 사랑하는 사람은 단 하 나인가? 이를 설명하는데 love map 이라는 용어가 동원되다. Love map 은 개인 이 살아오는 동안 겪어온 모든 것, 즉 좋았건 나빴건 기뻤건 슬펐건, 모든 경 험의 기록이다, 이러한 정보들은 청소년기까지 뇌회로에 새겨지게 되고 이런 정보와 가급적 많은 일치를 보이는 상대에게 사랑을 느끼게 된다. 많은 여성들 이 아버지와 같은 사람을 이상적인 배우자형으로 생각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