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net ] in KIDS 글 쓴 이(By): triangl (삼각형) 날 짜 (Date): 1993년10월31일(일) 16시46분17초 KST 제 목(Title): 컴퓨타 통신망과 X.25 패킷교환망과 X.25 프로토콜 (II) 이번 연재에는 지금까지 공부해왔던 통신 프로토콜이나 전송방식등의 실제로 적용되는 물리적인 망인 컴퓨터 통신망, 특히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교환망( HiTEL의 157등)과 망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X.25에 있어서 프로토콜 개략과 다양한 서비스 그리고 패킷교환망의 실제 사용 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3. 패킷망 통신프로토콜 X.25 이렇게 패킷망을 구성하는 프로토콜은 네트워크계층의 통신프로토콜인 X.25 인데 OSI 계층구조와의 관계는 표 2 와 같다. X.25는 네트워크 계층까지만 정의되어 있으며 상위의 계층은 패킷망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물리적인 통신접속으로는 느린 속도 (9600 bps 이하)의 경우는 우리가 잘아는 25핀 D형 커넥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RS-232C 방식이나 9600bps 이상의 고속의 경우 34 핀 커넥터를 쓰는 V.35 규격으로 가능하며 데이터링크층은 LAPB (HDLC, Higher Level Datalink Control) 방식으로 되어 있다. 네트워크 계층인 X.25 프로토 콜은 데이터전송을 패킷(packet) 이라는 단위로 하게 되는데 이 패킷이 데이터그램 (datagram) 방식으로 패킷망내에서 전송되게 된다. 데이터그램이란 패킷망에 설정된 가상의 경로 (virtual circuit) 를 통해 메시지가 여러개의 패킷으로 분리되어 순서 없이 전송되는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에 오류검출, 순서제어등을 행하여 신속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다. X.25 와 연관된 통신프로토콜로는 X.3, X.28, X.29 가 있는데 X.3 는 단말기를 패킷망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패드의 여러가지 속성 (PAD parameter) 을 규정한 것으로 예를 들면 X.3 파라미터 2 번의 경우 에코를 할 것인가에 대한 정의를 할 수 있는 기능이다. X.28 은 비동기통신터 미널인 사용자 PC 가 어떻게 패킷망에 접속할 수 있는가에 대한 명령어 및 응답어에 대한 규정으로서 패킷망 노드에 전화를 걸어 패드에 연결되었을 때 'STAT' 란 명령 으로 접속상태를 조회하면 'FREE' 또는 'ENGAGED' 란 응답이 나타나는데 'FREE' 란 상대편 컴퓨터에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ENGAGED' 란 접속이 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때 'CLR' 명령어로 접속을 끊을 수 있다. 'PAR ?' 명령어로 패드의 파라미터를 볼 수 있다. X.29 는 패킷망에 접속된 정보서비스컴퓨터와 패드간의 프로토콜을 말한다. 4. 패킷교환망의 서비스 패킷망교환망에서는 전화망의 부가서비스인 통화중 대기, 3자 통화와 같이 몇가 지 서비스가 있는데 첫째로는 폐쇄가입자그룹서비스가 있다. 폐쇄가입자서비스는 CUG (Closed User Group) 서비스를 말하는데 예를들어 한회사의 본사 및 여러지점들과 같이 특정사용자들을 그룹으로 형성하여 그룹내의 자유로운 통신을 제공하면서 타가입자와의 통신을 제한하므로써 마치 사설정보통신망처럼 이용할 수있는 서비스이다. 둘째로 수신자비용부담 서비스가 있는 데, 전화의 수신자부담 통화 (collect call)과 같은 서비스다. 다음으로 고정접속서비스인데 이를 PVC (Permanant Virtual Curcuit) 서비스라고 한다. 통상 패킷망에서의 전송경로는 가변 적으로 설정이 되어 이를 가상호출 (Virtual Call 또는 Switched Virtual Circuit) 이라고 말하는데 이렇게 되면 접속시마다 가상회로를 설정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전송지연이 생기게 된다. 이를 피하고 전용회선과 같이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외에 다중논리채널, 간이데이터통신, 대표망전화번호부 여등이 있다. 물론 선택사항으로서 서비스를 추가할 때마다 부가 사용료를 내야만 한다. 5. 패킷교환망의 사용 및 용어 설명 패킷교환망의 사용은 먼저 접속노드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야 한다. 접속은 접속노드에 설치되어 있는 패드의 전화용 모뎀에 연결되게 된다. 연결이 되면 접속 이 되었다는 메시지와 패드의 프롬프트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가입자 ID 와 상대편 정보서비스 식별번호를 입력한다. 입력한 후 약간 기다리면 상대편 정보서비스 컴퓨 터에 연결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COM' 이라는 응답과 함께 정보서비스의 로그인 메 시지가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가입자 ID 는 NUI (Network User Identification) 라 고 하며 패킷망에 사용자 가입신청을 하게되면 부여받는 일종의 암호와 같은 것이다. CUG 서비스를 받지 않는 일반사용자의 경우 반드시 이 암호가 있어야만 패킷망에 접근할 수 있으며 통신료도 이 NUI 에 대해서 과금하게 된다. 그래서 이 NUI 의 관리는 특별히 보안을 지킬 필요가 있다. 이렇게 CUG 서비스인 경우 정보서비스의 식별번호가 특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별도로 입력할 필요가 없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별도의 서비스 식별번호를 알아야만 한다. 정보 서비스에서 식별번호를 NUA (Network User Address) 라고 말하는데 이 번호의 체계는 아래와 같다. CommpuServe 의 NUA 예 +---------------------------------------------+ | 0 3106 001133 | | | | | | | 해외망 DNIC 네트워크 서비스 번호| +---------------------------------------------+ 제일 앞의 '0' 은 국제 패킷망으로 나가는 숫자로 국제전화를 걸려면 '001'을 눌러 국제전화를 이용하는 것과 같다. 다음의 4 자리 숫자는 DNIC (Data Network Identification Code) 을 뜻하며 표 1 처럼 각국의 패킷망서비스별로 지정되어 있는 데 한국의 Hinet-P의 경우 '4500' 로 지정되어 있으며 위의 '3106'은 미국의 타임네트 (Tymnet) 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NUA 를 알고 망가입자 번호인 NUI 가 있으면 패킷망에 연결된 정보서비 스에 접근할 수 있는데 양식은 패드프롬프트 상에서 NUI-NUA 순으로 입력하면 된다. NUI 와 NUA 사이에는 '-' (하이픈)으로서 구분한다. 보안을 위해서 NUI 는 자기 단 말기에 에코되지 않는다. 이상으로 패킷교환망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마치며 다음에는 패킷망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과 X.25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표 1 : 각국의 주요 패킷교환망과 망식별코드(DNIC) +------------------------------------------+ | 국 가 패킷망 DNIC | +------------------------------------------+ | 한국 Hinet-P 4500 | | 한국 DNS 4501 | | 아르헨티나 Arpac 7222 | | 호주 Austpac 5052 | | 오스트리아 Datex-P 2322 | | 브라질 Interdata 7240 | | 캐나다 Datapac 3020 | | 칠레 Entel 7300 | | 덴마크 Datapak 2382 | | 핀란드 Datapak 2442 | | 프랑스 Transpac 2080 | | 독일 Datex-P 2624 | | 그리스 Helpak 2022 | | 홍콩 Intelpak 4542 | | 이태리 Itapac 2222 | | 일본 DDX-P 4401 | | Venus-P 4408 | | 네덜란드 Datanet 2044 | | 뉴질랜드 Pacnet 5301 | | 노르웨이 Pacnet 2422 | | 필리핀 Philcom 5152 | | 스페인 NID 2141 | | 스웨덴 Datapak 2402 | | 대만 Pacnet 4872 | | 영국 IPSS 2341 | | 미국 Tymnet 3106 | | Telenet 3110 | +------------------------------------------+ 표 2 : OSI 통신계층구조와 X.25 ----+------------------+-------------------- 층 | 명 칭 | X.25 프로토콜 ----+------------------+-------------------- | 응 용 층 | | (Appliication) | +------------------+ | 프리젠테이션층 | | (Presentation) | +------------------+ | 세 션 층 | | (Session) | +------------------+ | 트랜스포트층 | | (Transport) | +------------------+-------------------+ | 네 트 워 크 층 | X.25 | | (Network) | | +------------------+-------------------+ | 데이터링크층 | LAPB | | (Data Link) | (HDLC) | +------------------+-------------------+ | 물 리 층 | X.21, X.21bis | | (Physical) | RS232C, V.3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