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Ecomy (기억상실증�) 날 짜 (Date): 1996년06월26일(수) 21시53분00초 KDT 제 목(Title): 인물별 주요 문헌 1992 까지 이완용 김명수 편, {일당기사}, 일당기사출판사, 1927. 고원섭, [이완용의 후손들], {신천지} 1, 서울신문사, 1946. 김천석, [이완용의 조국관], {한양} 6권 6호, 한양사, 1967. 송병기 역, [이완용과 왕조명], {자료 한국독립운동사}, 연대출판부, 1972. 김행선, [친미·친러파로서의 이완용 연구----1858∼1904],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85. 박제순 황수+호근, {참정대신 강석 한규설선생 소전}, 한국자료문화연구소, 1971. 권중현 이지용 이근택 송병준 야전진홍, {매국노}, 강담사, サ ビスセオンタ, 1977. 이용구 송병준, {해산이용구묘지명}. 내전양평, {해산이용구선생주사}. 흑룡회 편, {이봉암선생사략}. 조항래, [이용구], {한국인의 원형을 찾아서}, 일념, 1987. 조항래, [이용구의 일제침략·병합앞잡이 행각], {국사관논총} 28, 1991. 송건호, [이용구], {한국현대인물사론}, 한길사, 1984. 임종국, [매국에 앞장선 보수는 쌀 몇되값----'일한병합청원서' 낸 이용구], {실록 친일파}, 돌베개, 1991. 대동국남, {이용구の생애}, 동경, 시사통신사, 1961. 서미량태랑, {이용구소전}, 복강, 위서방, 1978. 교본건우, {부は조국と매つたか}, 일본경제평론사, 동경, 1982. 서동국남·이き 옹택성, [일한합병운동の후----일진회장이용구유아の주변], {국가론연구} 21, 동경, 논창사, 1983. 옹택성, [일본の근대と동アツア (3)----한국 일진회·시천교のこと존ど], {평론} 50, 동경, 일본경제평론사, 1984. 윤시병 윤갑병 윤갑병, [윤갑병의견], {재등실문서} 15권, 고려서림, 1990. 박영효 [박영효후와 한말풍운], {월간야담} 11·12, 1939. 6. 신석호, [한말정계와 박영효], {조광} 5-11, 1939. 11. 김윤식 조중웅 장석주 조희연 윤치호 윤치호, [신생을 추구하는 조선인----현하 급무는 과연하인가], {동아일보}, 1922. 4. 1. ______, [독립협회의 시종], {신민} 14호, 1926. 6. ______, [회고 30년], {조선남감리교회삼십년기념보}, 조선남감리교회전도국, 1930. ______, [독립협회의 활동], {동광} 26호, 1931. 10. 차상찬, [내가 본 윤치호선생], {혜성} 1권 2호, 1931. 4 및 {한국근세사논저집} 2, 태학사, 1982. ______, [조선최초영어학습회고담], {영어문학} 창간호, 조선영문학회, 1932. 김영희, {좌옹윤치호선생략전}, 경성, 기독교조선감리회총리원, 1934. 이광수, [규모의 인 윤치호씨], {이광수전집} 17, 삼중당, 1962. 국사편찬위원회 편, {윤치호일기}, 1973∼76. 송병기, {국역 윤치호일기} 상·하, 탐구당, 1975. 유영렬, {개화기 윤치호 연구}, 한길사, 1985. 정란교 신응희 이규완 {이규완옹백년사}, 비판신문사출판국, 1957 김진구, [갑신정변의 급선봉----당년 열혈아 이규완씨}, {별건곤} 4권 4호, 1926. 이주회 이두황 {이두황옹추회록}, 1929. 우범선 이진호 윤덕영 민병석 민영휘 김종한 박중양 박중양, {술회}. 유성준 유만겸 유억겸 유길준, {부군폐합에 대하야], {매일신보}, 1914. 1. 7. 유동준, {유길준전}, 일조각, 1987. 유만겸, [구년성상], {학지광} 13. 유억겸, [전필승공필취], {조광}, 1942. 2. 장헌식 고원훈 박상준 박상준, [고아산임학자동포], {태극학보} 15, 1907. 박상준, [선각자의 삼소주의], {태극학보} 26, 1908. 석진형 석진형, [애급국의 혼합재판제도], {소년한반도} 4호, 1907. 2. ______, [국제공법에 대한 세인의 오해급연구의 필요], {소년한반도} 6호, 1907. 4. ______, [강화후의 조선경제문제], {반도시론} 22호, 1919. 1. 김대우 민원식 배정자 선우순 선우순, [국가론의 개요], {서북학회월보} 8, 9, 11, 12, 13, 14. 선우순, [내선일체론について], {조선급조선민족} 제일집, 조선사상통신사, 1927. 이각종 이각종, {시국독본}, 1937. 박석윤 박춘금 현영섭 현영섭, {조선인の진むべ도}, 녹기련맹, 1938. ______, {신생조선の출발}, 대판옥서점, 1939. 이영근 이영근, {조선の문제ど기の해결}, 경성정학연구소, 1942. ______, {すめら조선}, 일본청년문화협회, 1943. 이종형 김태석 김덕기 전봉덕 김석원 김석원, {노병의 한}, 육법사, 1977. 유원식, {5·16 비록----혁명은 어디로 갔나}, 인물연구소. 김홍일, {대륙의 분노}. 정 훈 정 훈, [조선부인에게 고함], {매일신보}, 1937. 7. 한상룡 한상룡, {내지급대만시찰기}, 일한인쇄주식회사, 1916. 한익교 편, {한상룡군を어る}, 한상룡환력기념회, 1941. 장직상 한일도, [조선금융기관에 대한 고찰], {비판} 14, 1932. 6. 김갑순 박영철 박영철, {오십년の회고}, 대판방호서점, 1929. 문명기 문명기, {진の세계평화へ 소지일격}, 운암서재, 1937. 박흥식 김연수 삼양사, {수당 김연수}, 1985. 박승직 연강박두병전기간행위원회, {연강 박두병}, 1975. 현준호 문재철 진학문 최승만, {순성 진학문 추모문집}, 1975. 장덕수 이경남, {설산 장덕수}, 동아일보사, 1981. 심지연, [설산장덕수의 정치이념], {경남대논문집} 9, 1982. 서 춘 정만조 정만조, {무정유고}. 어윤적 어윤적, {동사년표}. 이능화 {이능화전집}, 중앙대 한국문화연구소. 안계현, [이능화], {신동아} 1970. 1 부록 {한국근대인물백인선}. 최남선 최남선, [자열서], {자유신문}. 최남선, [불함문화론], {조선급조선민족} 제1집, 조선사상통신사, 1927. ______, [자신의 암우를 탄한다], {반민자 대공판기}, 한풍출판사, 1949. {육당 최남선 선생 전집}. 홍일식, [육당연구], {일신사, 1959. ______, [최남선연구----그의 사상과 문학을 중심으로],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64. 조용만, {육당 최남선----그의 생애·사상·업적}, 삼중당, 1964. ______, {최남선----신문화운동의 거벽], {인물한국사} 5, 박영사, 1965. ______, {최남선----여명을 밝힌 지성], {인물한국사} 6, 1965. 이승우 신태악 김활란 김활란, {그 빛 속의 작은 생명}, 여원사, 1965. 김옥길, {김활란 박사소묘}, 이화여대출판부, 1959. 김정옥, {이모님 김활란}, 정우사, 1977. {우월문집}, 이화여대출판부, 1979. 고황경 고황경, [징병 감사와 우리의 각오], {매일신보}, 1943. 8. 5. 황신덕 황신덕, [폐품재생산하야 국가에 필요하게 쓰자], {매일신보}, 1941. 9. 16. 박인덕 박인덕, [정전을 뒤에 지키는 맹세], {매일신보}, 1941. 12. 20. ______, [의식주에 관한 필승의 실], {신시대}, 1943. 4. 이인직 김광용, [이인직연구], {서울대논문집:인문사회편} 6, 1957. 전고호행, [국초리인직론],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91. 이광수 {사랑은 가시밭길----춘원 이광수의 사랑과 종교}, 광화문출판사, 1962. {춘원 이광수----그의 생애·문학·사상}, 삼중당, 1962. {이광수 전집}, 삼중당, 1971.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한길사, 1986. 이동하, {이광수}, 동아일보사, 1992. 김동인 김동인, [태평양송], {매일신보}, 1942. 1. 6. ______, [반도민중의 황민화----징병제실시수감], {매일신보}, 1944. 16-28. 주요한 김윤식, [준비론사상과 근대시가----주요한의 경우],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84. 김동환 장부일, [파인 김동환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82. 김기진 김팔봉, [조선문단의 현재수준], {신동아}, 1934. 1. 모윤숙 모윤숙, {회상의 창가에서}, 중앙출판사, 1968. 유치진 유치진, {동랑자서전}, 서문당, 1975. 최재서 백 철 박영희 홍난파 김종욱, {최후의 악수 홍난파}, 춘추각, 1985. 현제명 김은호 김은호, {서화백년}, 중앙일보사, 1977. 이구열, [화단일경일이당선생의 생애와 예술], 1968. 한국근대미술연구소 편, 화집 {이당 김은호}, 국제문화사, 1978. 화집 {이당 김은호}, 예경산업사, 1989. {한국근대회화선집} 한국화 3권 '김은호', 금성출판사, 1990. 이구열, {근대한국미술사의 연구}, 미진사, 1992. 이규일, [이당 김은호의 생애와 예술], {이당 김은호 탄생 100주년 기념전 도록}, 호암갤러 리, 1992. 김기창 김기창, {나의 사랑과 예술}, 정우사, 1977. 화집 {운보 김기창}, 경미문화사, 1980. {한국근대회화선집} 한국화 9권 '김기창/박래현', 금성출판사, 1990. 이구열, [줄기찬 자기 연소], {계간미술} 11호, 1979 여름. 허영환, [양식의 거리낌없이 그려간 거대한 동양의 붓], {운보 김기창}. 이흥우, [운보----그 거대한 필력과 다양성], 화집 {운보 김기창}. 심형구 심형구, [시국과 미술], {신시대}, 1941. 10. 이경성, [부드러운 인품과 성실한 자세], {심형구 화집}, 문화화랑, 1977. 김인승 {한국근대회화선집} 서양화 2권 '도상봉/김인승', 금성출판사, 1990. 최린 최 린, [여암 최린 선생 증언----여암 최린 선생 자서전에서], {신인간} 365, 1979. {여암전집}, 여암전집편찬위원회, 1971. 박희도 정춘수 정인과 전필순 전필순, {목회여운}, 1965. 김길창 이회광 이종욱 권상로 김태흡 @ ~~ ~~ ~ ~~~ ~~~~ ~ ~ 바람과 함께 떠나는 __=||=__-__-__ ? _ %% _ ###_ | :^^^^^^^^^^^^: ~~ ~` 기 차 여 행 '~~ ~ ~ ~ /_/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