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Ecomy (기억상실증�) 날 짜 (Date): 1996년06월26일(수) 21시52분07초 KDT 제 목(Title): 친일파 관련 문헌 1992년까지 1. 기본 문헌 단행본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66. 강동진,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 한길사, 1980. 임종국, {일제침략과 친일파}, 청사, 1982. 길진현, {역사에 다시 묻는다}, 삼민사, 1984. 조항래, {일진회연구}, 중앙대 ____학위논문, 1985. 김병걸·김규동 편, {친일문학작품선집} 1, 실천문학사, 1986. 임종국, {일제하의 사상탄압}, 평화출판사, 1986. 임종국, 반민족문제연구소 엮음, {실록 친일파}, 돌베개, 1991. 김삼웅·정운현, {친일파} , 학민사, 1992. 신문 {경성일보}. {매일신보}. 잡지 {동양지광}. {반도시론}. {삼천리}. {총동원}. {춘추}. {국민문학}. {대동아}. {대화세계}. {조선공론}. {내선일체}. {조광}. {녹기}. 문헌 자료 석미동방, {조선병합사}. 대촌우지승 편, {조선귀족렬전}, 1910. 세정조, {현대한성の풍운と명사}, 1910. 이인섭, {원한국일진회력사}, 문명사, 1911. 목산경장, {한국신사명감}, 1911. 대원장부, {조선신사대동보}, 1913. 전중정칙, {조선신사보감}, 1913. 소송록, {조선병합지리면}, 동경, 중외신문사, 1920. {조선신사보감}, 1922. 대원장부, {조선신사대동보}, 1923. 좌좌목태평, {조선の인물と사업 }, 경성신문사, 1930. 조선신사록간행회, {조선신사록}, 1931. 민중시론사, {조선공로자명감}, 1935. {조선인사흥신록}, 1935. 아부훈 편, {조선공로자명감}, 1935. 덕력신일랑, {조선총독부경찰관서직원록}, 조선수험연구사, 1938. 도원권, {조선재계の인인}, 경성일보사, 1941. 내전양평 편, {일한병합시말}, 1944. 흑룡회 편, {동아선각지사기전} 상, 원서방, 1981. 각전방자, {민비암살}, 신조사, 1988. (해방이후) [감리교회 배신 배족 교역자 행장기], 1947. 민족정경문화연구소 편, {친일파군상}, 삼성문화사, 1948. 김영진 편, {반민자 대공판기} 제1집, 한풍출판사, 1949. {민족정기의 심판} 제1집, 혁신출판사, 1949. 고원섭 편, {반민자 죄상기}, 백엽문화사, 1949. [반민특위 피의자 신문조서 및 청취서], 1949. 산변건태랑, {일한병합소사}, 경성, 태평출판사, 1966. [비화 한 세대 '반민특위'] 제46회, {경향신문}, 1977. 8. 15. 2. 관련 주요 문헌 신문 {한성주보}. {독립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조선신문}. {동아일보}. {기독교신문}. {기독신보}. {경향신문}. {영남일보}. 잡지 {학지광}. {태극학보}. {신생활}. {별건곤}. {비판}. {개벽}. {신민}. {소년한반도}. {서북학회월보}. {사해공론}. {태양}. {월간야담}. {시사평론}. {혜성}. {영어문학}. 기타 {고종실록}. 조선총독부, {관보}. 김옥균, {갑신일록}. 황 현, {매천야록}. 정 교, {대한계년사}. 김윤식, {속음청사}. 국사편찬위원회, {동학란기록}. 윤효정, {풍운한말비사}. 정만조, {무정유고}. 어윤적, {동사년표}. 박은식, {독립운동지혈사}. 박은식, {한국통사}. 소운거사, {한말비사}. 문헌 자료 관등사랑개, {이왕궁비사}. 무전범지, {기이풍영사}. 무전범지, {시천교력사}. {평시국제공법론}, 1907. {채권법}, 1908. 이등박문 편, {조선교섭자료} 하. 법률의 필요, {대한협회회보} 제2호, 1908. 제국실업회, {제국실업회상무세칙부칙}, 1908. 9. 5. 암정경태랑, {고문경찰소지}, 한국내부경찰국, 1910. 대구부편, {대구민단사}, 1915. 조선총독부, {도지사회의속기록}, 1921. 조선총독부, {시정に관する유고, 훈시병연술},1922. [조선참정권요구건백서], {시사평론} 1, 1922. 4. 조선매일신문사, {조선시정십오년사}, 1925. {조선급조선민족} 제1집, 조선사상통신사, 1927. 좌좌목태평, {조선の인물と사업}, 경성신문사, 1930. 하정조웅, {대구물어}, 1931. 조선신사록간행회, {조선신사록}, 1931. {조선연감}, 1933. 경상북도 경찰부, {고등경찰요사}, 1934. 민중시론사, {조선공로자명감}, 1935. {조선인사흥신록}, 1935.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1920, 1926, 1929, 1939. 국지겸양, {조선근대사} 하, 조선연구회, 1936. 소전치책, [재선이십육년の회고], {조선통치の회고と비판}, 조선신문사, 1936. 경성부, {경성부사}, 1936. 본전수부 편, {조선식산은행이십년년지}, 1937. 만주국 군사고문부, {국내치안대책の연구}, 1937. 덕력신일랑, {조선총독부경찰관서직원록}, 조선수험연구사, 1938.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시국대책조사위원회회의록}, 1938.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사업개요}, 1938. 녹기일본문화연구소 편, {조선사상계개관}, {금일의 조선문제강좌} 4, 녹기련맹, 1939. {충청남도 대지주 명부}, 1930연대말. {임시의정원문서}(1919∼21).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론}(1939∼42). 전보교결, {근대일선の관계연구}, 조선총독부중추원, 1940. 도원권, {조선재계の인인}, 경성일보사, 1941. {재등실문서}. {백범일지}. 한국사료연구소, [대정 구년 육월 조선인 개황], {조선통치사료] 7, 1971. {대한제국관원리력서}, 국사편찬위원회, 1972. 삼천철랑, {조선독립운동암살사}, 삼일서방, 1976. {일제침략하 한국삼십육년사}, 국사편찬위원회. {제국의회중의원의사속기록}. (해방이후) [대한감리회보], 1949. [반민특위 피의자 신문조서 및 청취서], 1949. [천주교회보], 1952. 외무성 편, {일본외교문서} 삼십칠권, 동경, 일본국제련합협회, 1954. 이병헌, {3·1운동 비사}, 1959. 대한체육협회, {대한체육협회사}, 1965. 김정명 편, {일한외교자료집성} 제오권, 동경, 영남당서점, 1966. 문화공보부, {한국의 언론} 제1집, 1968. 중앙교우회, {중앙육십년사}, 1969. 경성방직, {경성방직오십년}, 1969. {중앙삼십년}, 1970. {중앙대학교사}, 1970. 국회사무처, {국회사}(제헌·2대·3대 국회), 1971. 미촌수수·강덕상 편, {현대사자료} 이십구권, みすず서방, 1972. 삼양사, {삼양 오십년}, 1975. 동아일보사, {동아일보사사} 1, 동아일보사, 1975. 고려대학교칠십년지편찬실, {고려대학교 칠십년지}, 고려대출판부, 1975. {상공회의소 구십년사} 상권, 1976. 삼전방부, {조선종전의 기록}, 암남당서점, 1979. 연동교회90연사편찬위원회, {연동교회 90연사}, 1984. {조흥은행구십년사}, 1987. 두산그룹, {두산그룹사}, 1989. 시천정명편, {3·1 독립운동} 1·2, 고려서림영인, 198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0. 현대사자료, {조선}, 3·1 운동편(2).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제11권. {한국근현대사인명록}. {이능화전집}, 중앙대 한국문화연구소. {대구상의 뉴스} [대구상의70연리면사]. {은행회사조합요록}, 각년판. {한국법조인연감}, 법률신문사. 단행본 박태원, {약산과 의열단}, 백양당, 1947. 최 준, {한국신문사}, 일조각, 1960. 이두현,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출판부, 1966. 이광린, {한국개화사연구}, 일조각, 1970. {한국근대인물백인선}, {신동아} 1970년 1월호 부록, 동아일보사. 김영모, {한말지배층 연구}, 일조각, 1977. 팔목신웅, {일본과 한국}, 1981. 백종기, {한국근대사연구}, 박영사, 1981. 심지연, {한국민주당연구} Ⅰ, 풀빛, 1982. 조기준, {한국기업가사}, 박영사, 1983. 장창국, {육사 졸업생}, 중앙일보사, 1984. 심지연, {한국현대정당론}, 창작과비평사, 1984. 마경일, {마경일 목사 회고록----길은 멀어도 은총 속에}, 전망사, 1984. 김윤식, {한국근대소설사연구}, 을유문화사, 1986. 최광식, {한국근대소설사론}, 창작사, 1986. 천상선병위, {무전범지전}, 일본경제평론사, 1987. 조동걸, {한국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연구}, 지식산업사, 1989. 유영익, {갑오경장연구}, 일조각, 1990. 유민영, {우리시대 연극운동사}, 단국대출판부, 1990.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1. 윤치영, {윤치영의 20세기}, 삼성출판사, 1991. 이구열, {근대한국미술사의 연구}, 미진사, 1992. 논문 최 준, [일진회의 언론활동분석], {중앙대논문집} 7, 1962. 차문섭, [매국의앞잡이----일진회], {한국현대사} 3, 신구문화사, 1969. 최영희, [주한일본공사관기록문서수록 '한말관인의 경력일반'], {사학연구} 제21집, 1969. 조항래, [일본의 대한침략정책과 구한말친일단체] 1∼4, {동양문화} 10·11·12, 대구, 영남 대동양문화연구소, 1969∼71 및 {서정덕교수 화갑기념논총}, 1971. 임종국, [일제말 친일군상의 실태], {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1979. ______, [일제하 지식인의 변절], {친일파----그 인간과 논리}, 학민사, 1990. 김윤수 외, [한국미술의 일제 식민잔재를 청산하는 길], {계간미술} 제25호, 1983 봄. 이기동, [일제하의 한국인 관리들], {신동아} 1985. 3. 원동석, [일제미술 잔재의 청산을 위하여], {실천문학} 제7호, 1985 여름. 정정명, [고영근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조항래, [일진회의 주변단체와 그 연계성], {두계 이병도박사 구순기념 한국사학논총}, 1987. 조항래, [일진회의 배후관계], {숙대논문집} 28, 1988. 강명관, [일제초 구지식인의 문예활동과 그 친일적 성격], {창작과비평}, 1988 겨울. 이경성, {(속) 근대한국미술가논고}, 일지사, 1989. 강민기, [1920년대 한국 동양화단의 새로운 경향과 일본화풍], 홍익대 대학원, 1989. 최석태, [일제하 미술가들의 변상도], {역사산책}, 1990. 12. 박미경, [선전의 회화경향----동양화부를 중심으로], 동국대 대학원, 1991. 강창일, [삼포오루 공사와 민비시해사건], {명성황후 시해사건}, 민음사, 1992. 이태호, [1940년대 초반 친일미술의 군국주의적 경향성], {근대한국미술논총----청여 이구열 선생 회갑기념논문집, 학고재, 1992. 김용섭, [고부 김씨가의 지주경영과 자본전환], {한국근현대농업사연구}, 일조각, 1992. @ ~~ ~~ ~ ~~~ ~~~~ ~ ~ 바람과 함께 떠나는 __=||=__-__-__ ? _ %% _ ###_ | :^^^^^^^^^^^^: ~~ ~` 기 차 여 행 '~~ ~ ~ ~ /_/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