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Convex (4ever 0~)
날 짜 (Date): 1995년07월25일(화) 01시04분52초 KDT
제 목(Title): [러'新刊:한반도문제-새로운 시각]①분단은


 ───────────────────────────────────────
 뉴스제공시각 : 07/24 09:19
 제목 : [러'新刊:한반도문제-새로운 시각]①분단은 美.蘇 공동책임
 ------------------------------------------------------------------------------
    *편집자 註-- 연합통신은 러시아 국제관계대학총장 아나톨리 토르쿠노프 박사가
한반도에 관한 러시아 미공개 문서를 공동으로 정리하여 엮은 新刊  "한반도문제-새
로운 시각"을 긴급 입수하여 4회분으로 발췌, 송고합니다.

    (모스크바=聯合) 李炳魯특파원=아나톨리 토르쿠노프 러시아 국제관계대학(MGIMO)
총장은 최근 미공개된 러시아측 문서 등을 정리해 한반도의 분단에서부터 6.25의 원
인과 배경을 분석하고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변화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한  `
한반도문제-새로운 시각'(공저자 E.P. 우핌체프)을 출간했다.
    토르쿠노프 박사는 이 책에서 먼저 한반도문제의 시발점인 분단문제에 대해  이
는 美.蘇양국의 외교정책적 대결양상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
어 "해방직후의 국제정세로 보나 美.蘇양국 수뇌부의 외교정책적 의지로 보나  한반
도 분단은 피할 수 없는 사건"이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는 이어 신탁통치안을 거론하면서 해방직후 한반도문제를 대화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기도 했으나 실패로 끝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는 힘으로 문제를  풀어
버린다는 의지로 모습을 바꿔 한국전쟁으로 이어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이 책에 기술된 한반도 분단의 책임문제와 관련된 부분의 요약이다.
    『▲한반도 분단. 누구의 책임인가?
    얄타회담에서 미국은 후견제(신탁통치제도)를 제안했고  20-30년후에  한반도에
독립국가를 세우는 방안을 제시했다. 물론 이런 제안은 미국이 한반도에  親美정부
를 세운다는 목표와 연관된 것이었다.
    45년 8월 9일 對日전쟁을 개시한뒤 만주와 북위 38도선 이북에  진주한  소련軍
지휘부는 북한에 親蘇정부를 세우는 작업에 착수했다. 마찬가지로 남한에 진주한 미
군도 親美정부를 세우는 일을 개시했다.
    이어 45년 12월 모스크바 3相회담에서 미국은 한반도에서 2단계 신탁통치를 실
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미국의 방안에 따르면 첫번째 단계에서 美.蘇주둔군 사령
관을 공동수반으로 하는 단일 행정기관에 한국인을 참여시켜 신탁통치실시 이전까지
한반도를 통치하도록 돼있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美.蘇.中.英 4개국 합동행정기관을
만들어 5년간 행정.입법.사법 업무를 관장토록 하도록 돼있으며 향후 5년이내에  한
국민으로 하여금 독립정부를 구성토록 돼있었다.
    소련은 다른 계획을 갖고 있었는데 그것은 조속한 시일내에 한국을  독립시키는
것이었다. 첨예한 대립끝에 기본적으로 소련측안이 3相회담 결정안에서  받아들여졌
으며 이는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이를 위해 美.蘇공동위원회를 설치한다는  내용이었
다...그러나 美.蘇공동위원회는 47년 10월 최종적으로 결렬됐고 이는 한반도의 분단
을 더욱 공고화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말았다...
    이후 48년 한반도에는 미국의 후원을 받는 한국정부와  親蘇국가인  북한이라는
두개의 정부가 들어서게 됐다.
    소련의 저명한 한국학 학자인 샤프신은 "한반도 분단외에 다른 대안이 있었는가
?"라는 질문을 던져놓고 결론을 내리지 못한 바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저자들의 견해는 이렇다. 해방직후의 시기에 한반도의 분단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전무했다. 당시의 국제정세는 물론이고  스탈린을  위
시한 소련 지도부의 정치적 입장, 미국의 정책 등 모든 요소가 한반도의 단일성을
유지토록 작동할 수 없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한반도의 분단은 美.蘇 양대강국  정책결정권자들의  선택한
예정된 수순에 따라 나타난 결과였다. 한반도의 南과 北에 사회주의를  기초로  하
는 단일 정부를 수립하려했던 소련 외교정책결 정권자들은 타협안을 마련할 수  없
었다. 그 결과 한반도에는 전혀 다른 경쟁적 체제에 기반을 둔 두개의 정부가 들어
섰다.
    그리고 한반도 분단은 민족상쟁의 전쟁으로 이어졌다...』(끝)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