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요키에로타) 날 짜 (Date): 1998년 11월 1일 일요일 오전 01시 48분 28초 제 목(Title): 한21/조선일보의 곡필사 확신에 찬 왜곡보도 안보상업주의로 무장한 조선일보의 곡필사…민주화·인권분야엔 싸늘한 시선 지난 96년 9월22일 국방부 기자실. <조선일보>(이하 <조선>) 출입기자와 합참 정보본부장이 몸싸움 직전까지 가는 사태가 벌어졌다. 발단은 전날 <조선> 보도. <조선>은 이날 스트레이트와 해설기사 등을 통해 “강릉에 침투한 잠수함에 고성능 포문, 시한폭탄까지 실린 것으로 드러났고, 결국 국내 VIP들을 겨냥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왜 없는 대포를 있다고 했을까 그러나 ‘군 수사당국’을 인용한 이 보도는 사실을 뒤집은 것이었다. 기사가 나가기 직전 군은 출입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잠수함에 대포는 없다”고 확언했다. 당시 합참 정보본부장은 왜 대포를 싣고 오지 않았는지를 상세히 설명했다. 그럼에도 <조선>은 “대포는 있었다”고 정반대로 기사를 틀었다(이상 10월21일치 <미디어 오늘> 1면 기사 요약 인용). 그렇다면 <조선>이 ‘없는’ 대포를 ‘있다’고 보도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 해답은 간단하다. 남한에 침투한 북한의 잠수함에는 대포가 ‘있어야’ 기사가 더 자극적이기 때문이다. 남침 가능성은 언제나 ‘높아야’ 하고, 북한의 대규모 지하공사는 ‘핵관련 시설이어야’ 하고, 불순세력은 우리 사회의 ‘곳곳에 숨어 있어야’ 한다. 어차피 사실 여부는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이하 민언련) 신문모니터분과가 <월간 말> 98년 8월호에 발표한 “조선일보의 ‘국가안보상업주의’ 곡필과 오보 10선”을 보면 <조선>의 이런 태도가 잘 드러난다. 그중 ‘박홍 주사파 발언’ 보도의 경우를 보자. 94년 7월18일 청와대 오찬에서 서강대 박홍 총장은 “대학 내에 주사파가 생각보다 깊이 침투해 있으며,… 뒤에는 김정일이 있다”고 말했다. <조선>은 그 다음날부터 우리 사회 여기저기에 주사파가 깔렸다는 박홍의 발언을 연일 대서특필했다. 심지어 “박 총장 발언의 증거를 요구하는 사람들도 주사파”라고 몰아부쳤다. 검찰이 “발언의 신빙성이 없다”고 발표했음에도 박 총장을 옹호했다. 결국 그것은 근거없는 발언으로 판명됐다. 97년 5월 법원은 “한국통신 노동조합에 근거없는 주사파 발언을 한 박 총장은 7천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지난해 대선기간 동안 매카시즘을 불러일으킨 ‘이석현 의원 명함 논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97년 8월20일 <조선>은 ‘남조선 국회의원’이라는 제목의 기사와 사설로 중국어 명함에 ‘남조선’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석현 국민회의 의원을 문제삼기 시작했다. “국회는 마땅히 이런 무자격 의원의 제명도 불사하는 단호한 징계를 내려야 할 것이다”는 준엄한 ‘선고’도 내렸다. 이 의원은 이 보도가 나간 뒤 <조선>의 해당 기자와 논설위원에게 “중국인들에게 일반적인 표현인 ‘남조선’을 썼으며, 앞으로는 주의하겠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이 의원은 눈물을 흘리며 당을 떠났다. 98년 김대중 대통령 취임 뒤 국민회의는 이 의원을 복당시켰다. 이런 ‘용공이적’ 의원이 복당하는데도 그때는 <조선>은 침묵했다. 이 밖에도 국가안보상업주의성 곡필과 오보는 ‘김일성 사망설’ ‘서울 불바다’ ‘김일성 사망과 조문 논쟁’ ‘성혜림 망명설’ ‘황장엽 망명’ 등으로 면연히 이어진다. <조선>이 열을 올리는 것은 대북문제만이 아니다. 전두환·노태우 군사독재정권을 비호하고 그 속에서 자신들의 이득을 챙기는 데도 앞장섰다. 전두환씨를 입에 침이 마를 정도로 칭찬한 일이나, 12년에 걸친 ‘악어와 악어새’ 관계에서 나온 숱한 곡필은 이미 수없이 사람들의 입에 올라 거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물론 <조선>은 이런 ‘잘못된 역사관’에 대해 사과하지 않고 있다. 한번도 사과는 없었다 이처럼 이념 문제에서 열을 올리기 좋아하는 <조선>이 냉담한 분야가 있다. 민주화, 인권, 노동 분야를 다룰 때가 그렇다. ‘부천서 성고문 사건’을 보자. 86년 7월 <조선>은 사회면 머릿기사에서 “성적 모욕 없고 폭언 폭행만 했다”는 검찰의 발표를 그대로 제목으로 뽑고 ‘운동권 공권력 무력화 책동’이라는 적반하장의 제목까지 뽑았다. 또 ‘부천서 사건 공안당국 분석’ 기사에서도 “급진세력의 투쟁전략전술 일환 혁명 위해 ‘성’까지 도구화한 사건”이라는 검찰의 발표를 그대로 제목으로 사용했다. <조선>의 냉담함을 보여주는 사례도 셀 수 없이 많다. 70년 11월 ‘전태일 사건’ 89년 5월 ‘전교조 결성’ 91년 5월 ‘유서대필 논란’ 94년 6월 ‘철도·지하철 파업’ 96년 8월 ‘연세대 사태’ 97년 3월 ‘북한 식량지원’ 등. 민언련의 이유경 간사는 “<조선일보>의 곡필과 오보는 자신들의 이익을 담보해주던 냉전·비민주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며 “정말 심각한 문제는 <조선일보>가 자신들의 이런 그릇된 행태에 대해 정열과 확신을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김규원 기자 gim@mail.hani.co.kr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활쏘기는 군자의 덕성과 비슷한 바 가 있으니, 활을 쏘아 과녁을 벗어나더라도 오히려 그 이유 를 자기 몸에서 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