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요키에로타) 날 짜 (Date): 1998년 10월 20일 화요일 오전 10시 18분 40초 제 목(Title): 고종석/오른손은 '올바른 손' [고종석에세이] /국어의 풍경들[6] 오른손은 '올바른' 손/ ▶프린트 하시려면 아이들이 앞, 뒤, 위, 아래와 함께 일찌감치 배우는 방향어가 오른쪽, 왼쪽이다. 사전에서는 오른쪽을 “동쪽을 향했을 때, 남쪽에 해당하는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왼쪽은 “동쪽을 향했을 때, 북쪽에 해당하는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동서남북의 방향은 해가 돋는 쪽을 기준으로 해서 정해지므로 고정돼 있지만, 오른쪽, 왼쪽은 삼라만상이 다 기준이 될 수 있어서 유동적이다. 관형사 `오른'은 접두사처럼 쓰여 오른편, 오른손, 오른팔, 오른발, 오른다리, 오른새끼(오른쪽으로 꼰 새끼), 오른나사(시계 바늘 방향으로 돌리는 나사) 따위의 복합어를 만들고, 관형사 `왼' 역시 접두사처럼 쓰여 왼편, 왼손, 왼팔, 왼발, 왼다리, 왼새끼(왼쪽으로 꼰 새끼), 왼나사(시계 바늘 반대 방향으로 돌리는 나사) 따위의 복합어를 만든다. `오른손'은 어원적으로 `옳은 손'이라는 뜻이고, `왼손'은 어원적으로 `그른 손'이라는 뜻이다. 관형사 `오른'은 `옳다' 는 뜻의 옛말 `올하(*아래아*)다' 의 관형형 `올한(*아래아*)'이 변한 것이고, `왼'은 `그르다'는 뜻의 옛말 `외다'의 관형형 `왼'에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16세기 언어학자 최세진은 한자교습서 <훈몽자회>(1527년)에서 한자 是와 非를 `올할(*아래아*) 시' `욀 비'로 읽었고, 이 책이 나온 지 반세기쯤 지난 뒤 유명한 서예가 한석봉이 임금의 명령을 받아 엮은 한자교습서 <석봉 천자문>(1583년)에서는 한자 右와 左를 `올할(*아래아*) 우' `욀 좌'로 읽고 있다. 그러니까 한국어에서는 오른쪽, 왼쪽이 옳고 그름과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석봉 천자문>의 해당 부분을 현대어로 고치면 右는 `옳을 우'이고 左는 `그릇될 좌'다. `바르다'의 관형형에서 온 관형사 `바른'이 `오른'의 동의어로 쓰이고 있는 데서도 이런 사정이 드러난다. `바른손' `바른쪽' `바른편'은 `오른손' `오른쪽' `오른편'의 동의어다. 오른손은 옳은 손이자, 곧고 올바른 손인 것이다. 어른들이 아이들을 왼손잡이로 만들지 않으려고 애쓰는 데는, 오른쪽이 바른쪽이자 옳은 쪽이라는 생각도 한 몫을 하고 있는 듯하다. 신기한 것은, 오른쪽과 왼쪽을 옳고 그름에 대응시키는 관념이 한국어에서만이 아니라 외국어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이다. 실상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들 대부분에는 이 언어 사용자들이 오른쪽을 `좋은 쪽'으로, 왼쪽을 `나쁜 쪽'으로 생각했다는 흔적이 남아 있다. 예컨대 프랑스어로는 오른쪽을 droit라고 하고 왼쪽을 gauche라고 하는데, droit의 일차적인 뜻은 `곧은, 바른, 옳은'이고, gauche는 `왼쪽'이라는 의미 외에 `서투른, 비뚤어진'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이탈리아어에서는 오른쪽을 뜻하는 destro가 `능숙하다'는 뜻을 겸하고 있는 반면에, 왼쪽을 뜻하는 sinistro는 `불길하다'는 뜻을 겸하고 있다. 이탈리아어에서 오른쪽, 왼쪽이 지니고 있는 이 `능란함, 상서로움'과 `불길함'이라는 비유적 의미는 이 단어들을 낳은 고대 로마시기의 라틴어 dexter와 sinister가 이미 담고 있었던 의미다. 영어에서도 오른쪽을 뜻하는 right는 본디 `곧은, 올바른'의 뜻이고, 왼쪽을 뜻하는 left는 고대 영어에서 `약한'이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정치적 용어로 사용되는 `좌익(左翼)' `우익(右翼)'은 한국어나 유럽어의 왼쪽, 오른쪽이 지니고 있는 이런 어원적(또는 비유적) 의미와는 무관하다. 다시 말해, 옳아서 우익이 된 것도 아니고, 글러서 좌익이 된 것도 아니다. `좌익(左翼)'은 일차적으로 `왼쪽 날개'라는 뜻이지만 정치적으로는 급진적―혁신적 정파를 뜻한다. `오른쪽 날개'라는 뜻의 우익(右翼) 역시 정치적으로는 점진적―보수적 정파를 뜻한다. 이렇게 정치적 맥락에서 쓰이는 한국어 `좌익' `우익'은 같은 뜻의 영어 left wing, right wing을 번역한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left wing, right wing을 일본 사람들이 먼저 `사요쿠(左翼)' `우요쿠(右翼)'라고 번역했고, 그 말들이 한자를 매개로 해 `좌익' `우익'의 형태로 한국어에 차용된 것이다. 영어에서 right wing, left wing이 정치적 우파와 좌파의 의미를 지니게 된 것은 프랑스어의 관행을 수입한 것이다. 프랑스어에서 `왼쪽'이 `진보주의자'를 의미하고 `오른쪽'이 `보수주의자'를 의미하게 된 것은 1789년의 프랑스 대혁명 이후다. 혁명기에 국민의회가 열렸을 때, 의장석에서 바라보아 오른쪽에 왕당파 의원들이 앉았고, 왼쪽에 혁명을 지지하는 의원들이 앉았던 데서 이런 용법이 생긴 것이다. 에세이스트 ♠위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활쏘기는 군자의 덕성과 비슷한 바 가 있으니, 활을 쏘아 과녁을 벗어나더라도 오히려 그 이유 를 자기 몸에서 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