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화이트헤드) 날 짜 (Date): 1998년 9월 4일 금요일 오후 04시 16분 10초 제 목(Title): Re: 이시재/새로운 문명과 한국의 사회운동 1) K. Marx and F. Engels, The Communist Manifesto, 1848. 2) W. Rostow, The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A Non-Communist Manifesto, Cambridge Univ. Press 1960. 3) Lim Hyun-Chin, Dependent Development in Korea, 서울대 출판부 1985. 4) F. Fukuyama, “The End of History,” National Interest 1989년 여름호. 5) 시민의 원의(原義)가 ‘bourgeoisie’이며, 시민사회의 원의가 ‘bourgeois society’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상공인들이 시민사회의 중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 6) 이중의 의미에서의 자유. 즉 가진 것이 없는 것(free)과 자신의 신체와 노동을 자기가 판매할 수 있는 인신(人身)의 자유라는 의미에서의 이중성. 7) Daniel Bell, The Cultural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Basic Books 1976. 벨은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으로 기능성을 지향하는 경제형태, 평등성을 지향하는 정치형태, 그리고 자기실현을 지향하는 문화형태 간의 상호모순을 지적하였다. 그의 주장은 정당하다고 생각되지만, 경제형태에서의 기능성이야말로 시장문화이며, 이것이 문화의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하려고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8)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육개혁의 원리는 수요와 공급, 경쟁의 원리를 교육’시장’에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교육구조의 자연도태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병원이나 비영리 민간사회단체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다. 9) 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 범문사 1978, 177~78면 참조. 10) 坂本義和, 『相對化の時代』, 岩波書店 1997. ------------------------------------------------------------------------------- - 11) Karl Polanyi, The Great Transformation, Beacon Press 1944, 57면. 12) J.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학』, 문예출판사 1991. 13) 見田宗介, 『現代社會の理論: 情報化, 消費化社會の現在と未來』, 岩波書店 1996. 14) Ivan Illich의 ‘shadow work’를 연상해볼 수 있다. 15) Martin O?onnor, Is Capitalism Sustainable?: Political Economy and Politics of Ecology, The Guilford Press 1994, 162~63면. ------------------------------------------------------------------------------- - 16) 백낙청, 「백낙청 편집인에게 묻는다」, 『창작과비평』 1998년 봄호. 17) 졸고, 「지방자치시대와 시민운동」, 크리스찬아카데미 사회교육원 엮음, 『지방화와 지구화 그리고 시민운동』, 한울 1995, 79~93면. 18) 환경운동은 1996년에 서울지하철노동조합과 공동으로 지하철의 공기오염에 대한 공동캠페인을 전개하여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 사례는 노동운동과 환경운동이 공공의 이익이라는 고리를 통해서만 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활쏘기는 군자의 덕성과 비슷한 바 가 있으니, 활을 쏘아 과녁을 벗어나더라도 오히려 그 이유 를 자기 몸에서 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