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화이트헤드) 날 짜 (Date): 1998년 8월 29일 토요일 오전 10시 25분 01초 제 목(Title): Re: 정현백/독일역사학의 과거청산과 분단극 1) 한운석, 「하나의 민족, 두 개의 과거-독일인들의 민족의식(1945~1994)과 내적 통일의 문제들」, 미발표 수고, 25면. 2) Ju¨rgen Kocka, Vereingungskrise: Zur Geschichte der Gegenwart, Go¨ttingen 1995, 75,147면. 3) 가장 중요한 정치적 과제를 묻는 1972년의 조사에서 서독인의 1%만이 통일이라고 응답하였다. 한운석, 앞의 글, 9면. 4) 한운석, 같은 글, 25~30면. 5) Archiv der Gegenwart vom 16. Oktober 1994, 39397~9면. ------------------------------------------------------------------------------- - 6) J. Kocka, 앞의 책, 47, 65면; Georg G. Iggers, Ein anderer historischer Blick: Beispiele ostdeutscher Sozialgeschichte, Frankfurt/M 1991, 32면. 7) 안병직, 「독일의 통일과 구동독의 역사학」, 『역사학보』139집, 235~59면 참조. 8) G. G. Iggers, 앞의 책, 14~5면. 9) 동독의 민족사에 대한 강조를 안병직교수는 ① 서독이 1972년의 기본조약을 단기적인 긴장완화정책으로 본 데 비해, 동독 역사학은 이를 분단의 고착화로 해석하기를 원했던 동독의 기본입장을 대변하였고, ② 프리드리히 2세나 비스마르크와 같은 역사적 인물에 대한 강조는 인민의 체제 내로의 통합과 권력층에의 복종을 조장할 위험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안병직, 앞의 글, 253~54면. 10) G. G. Iggers, 앞의 책, 24면. ------------------------------------------------------------------------------- - 11) 게오르크 G. 이거스, 『현대사회사학의 흐름』, 전예원 1982, 116, 123면. 12) G. G. Iggers, Ein anderer, 9면. 13) Harold James, Vom Historikerstreit zum Historikerschweigen, Berlin 1993, 10면. 14) Wolfgang Ku¨ttler, "Neubeginn in der ostdeutschen Geschichtswissenschaft: Bilanz nach dem Zusammenbruch der DDR," Aus Politik und Zeitgeschichte Bd. 17/8, 1992, 12면. 15) Rainer Eckert, Entwicklungschancen und - barrieren fu¨r den geschichtswissenschaftlichen Nachwuchs in der DDR, 28~31면. ------------------------------------------------------------------------------- - 16) 같은 책, 28~33면. 17) Charles S. Maier, "Geschichtswissenschaft und 'Ansteckungsstaat'," Geschichte und Gesellschaft 20, 1994, 618면. 18) Rainer Eckert, "Ein gescheiterter Neuanfang?" 같은 책, 611~15면. 19) J. Kocka, 앞의 책, 66~7면. 20) 예를 들면 동독에 속했던 작센주에서는 교수 1인당 학생 비율이 1.7명인데 비해, 서독에 속했던 바덴-뷔를템베르크주에서는 5.9명이었다. 그러나 동독은 대학생이 동일 연령집단의 12%인데 비해 서독은 25%였던 점을 감안하면, 동독의 교육제도가 훨씬 더 폐쇄적이고 엘리뜨적이었던 것 같다. 같은 책, 66면. ------------------------------------------------------------------------------- - 21) 졸고 「유럽의 도메스뜨로이카와 여성운동」, 『여성과 사회』 5, 창자과 비평사 1994, 239~47면 참조. 22) J. Kocka, 앞의 책, 68~70면. 23) 같은 책, 75~80면. 24) Rainer Eckert, Entwicklungschancen, 33~34면. 25) Armin Mitter & Stefan Wolle, "Inquisitoren auf der Faultierfarm,"; Rainer Eckert & Ilko-Sascha Kowalczuk & Isode Stark(ed.), Hure oder Muse?: Klio in der DDR(Dokumente und Materialien des Unabha¨ngigen Historiker- Verbandes, Berlin 1994, 276~81면. ------------------------------------------------------------------------------- - 26) C. S. Maier, 앞의 책, 623~24면. 27) Stefan Berger, "Viewpoint: Historians and Nation-Buildung in Germany after Reunification," Past & Present No. 148, August 1995, 196면. 28) 같은 책, 206~20면; J. Kocka, 앞의 책, 174, 176면. 29) Rainer Eckert, "Ein gescheiterter Neuanfang?," 611면. 30) 안병직, 앞의 글; 「통일 후 독일 역사학의 동향-역사로서의 동독 연구」, 『역사비평』 96년 봄호. ------------------------------------------------------------------------------- - 31) 이를 위하여 D. Blackbourn & G. Elly, The Peculiarities of German History, Oxford 1984를 참조할 것. 32) Berger, 앞의 책, 205면. 33) Charles Maier, 앞의 책, 619면. 34) Dagmar Klose, "Pra¨gungen und Wandlungen ostdeutscher Identita¨ten," Aus Politik und Zeitgeschichte Bd. 41, 1994, 9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활쏘기는 군자의 덕성과 비슷한 바 가 있으니, 활을 쏘아 과녁을 벗어나더라도 오히려 그 이유 를 자기 몸에서 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