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story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화이트헤드) 날 짜 (Date): 1998년 8월 29일 토요일 오전 09시 24분 59초 제 목(Title): Re: 브루스커밍스/비교론적 시각에서 본 시� * 이 글의 원제는 “Civil Society and Democracy in Comparative Perspective.” ⓒ(주)창작과비평사 1996 1) W. W. Rostow는 당시 존슨(Lyndon Johnson)대통령의 자문역으로서 『경제발전의 단계』(The Stages of Economic Growth)의 저자이다. 2) New York Times 1990년 6월 25일자. 3) Karel van Wolferen, The Enigma of Japanese Power: People and Politics in a Stateless Nation, Alfred A. Knopf 1989. 4) 같은 책, 1~10, 23~4면. 5) 같은 책, 5~8, 23~4면. ------------------------------------------------------------------------------- - 6) Cato Institute, 1000 Massachusetts Ave. NW, Washington, D. C. 20001로 편지를 보내면 구할 수 있다. 7) 여기서 ‘자유주의’란 미국식의 자유주의가 아니라 아담 스미스나 존 스튜어트 밀의 고전적인 자유주의를 말한다. 8) New York Times 1996년 3월 22일자의 반페이지 광고를 보라. 9) Robert D. Putnam,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David L. Kirp은 The Nation지에 이 책이 “핵심적이고 획기적이며 새로운 … 우리 시대의 『미국의 민주주의』이다”라고 했다.(보급판의 뒤표지에 인용.) 10) 같은 책, 183면. ------------------------------------------------------------------------------- - 11) 같은 책, 11면. 그러나 그는 안정된 민주주의의 전제조건으로서의 합의에 관해서는 아먼드-버바와 의견이 다르다. 불일치의 무성, 간극, 다양한 종류의 파편화는 북부 이딸리아에서 “좋은 정부”를 만드는 데 전혀 장애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116~17면) 12) 같은 책, 86~91면. 13) Michael J. Sandel, Democracy’s Discontent: American in Search of a Public Philosoph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14) 같은 책 3~7, 124~33, 351면. 15) 같은 책, 332면. 교외에 대한 William H. Whyte의 분석에서는 교외를 “군부대 생활의 속세판”이라고 하는데, 매우 명쾌한 말이다. Whyte, The Organization Man, New York 1956, 280면. ------------------------------------------------------------------------------- - 16) Peter Dews, ed., Autonomy and Solidarity: Interviews with Ju¨rgen Habermas (Verso, rev. ed. 1992), 171면. 17) Mark E. Warren, “The Self in Discursive Democracy,” in Stephen K. White,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berm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71면. 18) Raymond Williams, The Country and the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142~64, 216면. 19) 같은 책, 44. 20) Gabriel Almond and Sidney Verba, The Civic Culture: Political Attitudes and Democracy in Five Nations, Little, Brown and Company 1963, x면. ------------------------------------------------------------------------------- - 21) Habermas,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trans. Frederick Lawrence, MIT Press 1987, 367면. 22) White, “Reason, Modernity and Democracy,” 9면. 23) Karl Marx,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1844), in Karl Marx: Early Writings, intro. Lucio Colletti, trans. Rodeney Livingston and Gregor Benton, Bintage Books 1975, 247~49면. 24) 같은 책 252면. 25) 같은 곳. ------------------------------------------------------------------------------- - 26) Hegel, quoted in Marx,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State, in Early Writings, 116면. 27) Antonio Gramsci, The Prison Notebooks. 28) Alasdaire MacIntyre,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1. 웅거의 저작에서 이와 유사한 점을 보려면 Knowledge and Politics, The Free Press 1975, 38~49면을 보라. 29) After Virtue, 50~1면. 30) 같은 책, 110~12, 149면. ------------------------------------------------------------------------------- - 31) Knowledge and Politics, 76면. 32) After Virtue, 147면. 33) 같은 책, 227면. 34) 같은 책, 153면, John Anderson 인용. 35) 같은 책, 236면. ------------------------------------------------------------------------------- - 36) Habermas, Strukturwandel der O¨ffenlichkeit, Herman Luchterhand Verlag 1961, trns. by Thomas Burger a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MIT Press 1981. 이 책은 아먼드와 버바의 『시민적 덕성』과 거의 동시에 출간되었으며 그들의 기획에 대한 심오한 (명시적으로는 아니지만) 비판을 대표했다. 그러나 이 책은 거의 20여년 동안이나 영어로 번역되지 않았다. 37) Thomas McCarthy, “Introduction,” in Structural Transformation, xii면. 38) Habermas, Structural Transformation, 122~24, 130~31면. 39) Habermas, Structural Transformation, 133~36면에서의 토크빌 인용. 밀을 인용한 부분은 이렇다. 밀은 “공개념의 개념에 등을 돌렸”고 그 대신 정치적 문제가 “무식한 다수”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러한 일을 위해 특별히 교육받은 소수가 정당하게 고려를 해본 뒤 만들어낸 견해에 호소함으로써”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36면) 차티스트 신문은 5만부가 넘게 팔린 최초의 대중판 신문이었다.(168면) 40) Habermas, Structural Transformation, 177면. ------------------------------------------------------------------------------- - 41) Cumings,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1996의 4장과 6장을 보라. 42) 이 시기에 대한 좋은 자료로는 Gregory Henderson,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가 있다. 전체적인 혹은 일인당 경제지표 -- 당시 남한의 1인당 GNP는 100달러 남짓이었다 -- 로 이 시기의 서울을 이해하지는 못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든 중산계급의 가정에는 하녀가 있었으며, 부유한 사람들은 일군의 하녀·조리사·운전사·하인 들을 고용했다. 물론 대부분은 아주 가난했지만 당시 사회에는 개발주의 경제학자들이 사용하는 경험주의적인 방식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사회적인 부가 있었다. 43) 가장 좋은 자료는 Jung-en Woo, Race to the Swift: State, Finance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South Kore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이다. 44) Bruce Cumings, “The World Shakes China,” The National Interest, 1996년 봄호. 45) Marx, The Eighteenth Brumaire of Louis Bonaparte에서 따온 것이다. ------------------------------------------------------------------------------- - 46) 이러한 문헌들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Guillermo O’Donnell, Phillipe C. Schmitter, and Laurence Whitehead, eds., Transitions from Authoritarian Rule: Comparative Perspectives (Washington 1986), 같은 저자의 Transitions from Authoritarian Rule: Latin America(Washington 1986)과 Transitions from Authoritarian Rule: Tentative Conclusions About Uncertain Democracies (Washington 1986)가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경우와 남한을 비교한 나의 비판으로는 “The Abortive Abertura,” New Left Review(1989 봄호)를 보라. 47) 많은 한국어 자료들이 1987~95년 사이의 불안정한 연합의 약점과 얽히고 설킴을 지적하고 있다. 『6월 민주화 대투쟁』(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87); 『12월 부정선거 백서』(1988); 『말』지의 87년 12월 ‘부정’선거 특집호(1988). 영문 자료로는 Christ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Justice and Development, ed., Lost Victory: An Overviewof the Korean People’sStruggle forDemocracy in1987(Seoul: Minjung-sa 1988); Marcial Greenburg et. al., Broken Promise, Unfulfilled Dreams: Human Rights and Democarcy in South of Korea. 최장집은 Cambridge History of Korea 현대편의 논문에서 1995년 중반 무렵의 김영삼 정권이 박정희 정권만큼이나 나쁘다고 말한다. 48) 김광웅교수도 최근 논문에서 다른 경로를 통해 이와 비슷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 “Assessing the Impact of Kim Young Sam’s Political Reform on Korean Democratiz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1996. 이 논문을 보여준 김교수에게 감사드린다. 49) 씨머 마틴 리프씻은 그의 The First New Nation (Basic Books 1963)에서 합법적인 저항 개념에 있어서 외국인과 선동 금지법이 지니는 의의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50) Williams, The Country and the City, 231면. ------------------------------------------------------------------------------- - 51) 정치 만화의 수준에서만 보아도 학생들은 기발한 재능을 보여주었다. 내 기억에 1980년대 중반 연세대의 한 벽화에서는 러쉬모어 산에 전두환 흉상이 있고, 지미 카터가 그 산을 M-16 자동소총으로 경호하고 있으며, ‘3김’씨가 먼 발치에서 그 광경을 멍하니 쳐다보고, (유일하게 기이한 부분인데) 로널드 레이건이 부인 낸씨와 오럴 섹스를 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52) Autonomy and Solidrity, 234면. 53) 이에 관한 사례들은 Adam Przeworski and Fernando Limongi, “Political Regimes and Economic Growth,” in Amiya Bagchi, ed., Democracy and Development, St. Martin’s Press 1995, 3~24면과 Saevador Giner, “Comment,” 24~7면을 보라. 54) C. B. Macpherson, Democratic Theory: Essays in Retrieval,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78면. 55) Dahl, Democracy and Its Critics, Yale University Press 1989, 322~23면(정치적 평등에 관한 부분)과 264면에서 Dahl이 민주주의(그의 용어를 빌리자면 다원주의)의 여러가지 조건들을 나열한 부분을 보라. 그 조건들은 거의가 Almond & Verba가 The Civic Culture에서 설명한 범주를 넘어서지 못한다. ------------------------------------------------------------------------------- - 56) Michio Morishima, “Democracy and Economic Growth: The Japanese Experience,” in Bagchi, Development and Democracy, 157~60면. 57) Dietrich Rueschemeyer, Evelyne Huber Stephens and John D. Stephens, Capitalist Development and Democra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58) Macpherson, Democratic Theory, 3~8, 78~90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