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bages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garbages ] in KIDS
글 쓴 이(By): limelite (a drifter)
날 짜 (Date): 2013년 01월 17일 (목) 오후 07시 12분 43초
제 목(Title): 어나니 진화론


진화의 기본이 무작위적 유전자 변이와 자연선택/도태인데 어떻게 우리가
현재 보는 것과 같은 선명한 경향성과 발전이 생겨났는가에 대해 의문을
많이들 가지는 것 같다.
이런 의문은'생존경쟁'이라는, 진화의 방향을 결정 짓는 또 다른 요소의
중요성을 간과했기 때문에 생긴다.

생존에 필요한 자원이 한정된 조건에서는 단지 자연환경에 적응했느냐
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다. 다른 생물에 비해 우월한 능력을 지녀야
자원 쟁취 경쟁에서 이겨 생존할 수 있는 것이다.
경쟁 생물보다 좀 더 번식력이 좋으면, 좀 더 체력과 체격이 좋으면,
좀 더 생존 기술이 좋으면, 궁극적으로 좀 더 두뇌가 영리하면, 다른
생물과의 자원 쟁취 경쟁 즉 생존경쟁에서 이겨 살아남을 확률이
높아진다.
'생존 경쟁'을 고려하면, 생명체는 바다에서 발생했는데 왜 바다보다
육지에서 생물이 빠르게 발전했는지 문제에 대한 답도 얻을 수 있다.
지구에서는 바다보다 육지가 생존에 필요한 자원이 제약되어 있어서
육지에서 생존 경쟁이 더욱 치열했기 때문이다. 다른 관점으로 바다에서
생명체가 발생한 것도 생명체에 필요한 자원을 바다에서 쉽게 얻을 수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구의 육상에서 육천만년 전 뜻밖의 소행성 충돌로 우월한 경쟁상대였던
거대 파충류가 제거되자, 대신해서 환경 적응력이 파충류보다 뛰어난
조류와 포유류가 번성하게 되었다. 이 후 포유류끼리 생존 경쟁이
치열해지자 포유류도 점차 덩치나 체력, 운동능력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진화해 갔다.
그런데 포유류의 생존경쟁에서는 또 다른 요소가 중요했다. 바로 '지능'
이다. 나는 전문학자가 아니라서 왜 유독 포유류에게 지능 발달이 쉬웠는지
까지는 모르겠지만, 지능이 낮은 포유류가 후대의 지능 높은 포유류에 의해
대체된 (화석)기록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고 한다.

포유류의 생존경쟁에서 지능이 중요한 요소가 되면서 결국 인간과 같은
높은 지능을 가진 생물이 발달하게 된 것이다.



...............................................................................

                                                a drifter off to see the world
                                            there's such a lot of world to see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