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reeeXpression ] in KIDS 글 쓴 이(By): terius (원조일지매�@) 날 짜 (Date): 1994년08월23일(화) 04시12분16초 KDT 제 목(Title): 루카의 전설 [1]...탄생 설화 태고적 동쪽 끝에 한마리 큰 새가 살고 있었으니, 한번 날개를 펴면 지구의 반을 날았다 하여 이름하여 "붕". 그 새는 일명 "그냥새"라고도 불렸으니 천년만에 한번을 날아 오르고 맑은 물속의 크고 둥근 흰 "똘"을 먹고 살았다 한다. 그 때 땅위에는 인간이란 존재가 번식을 시작하고 있었고... 그 새는 인간들에게 신처럼 받들어졌던 것이다. 시간이 조금식 흘러 인간들은 문명을 발달시키고 급기야.... "붕"을 능가하려 들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붕"을 잡기위한 탑을 쌓게 되니 이름하야 "거봉탑"이라... 이 탑에 얽힌 전설이 또한 전해지고 있으니... 거봉탑을 쌓는 대공사가 진행중인 어느날 저 먼 메리나라에서 여류 조각가 하나가 찾아와 탑쌓기 책임 족장에게 이 대 공사에 참여하기를 청하여 말하였다. "족장님 , 이 거대한 탑의 이름은 무엇이오니까?" 족장은 그런 말을 들으니 생각해 본 적도 없고하여 얼버무리게 되었다. (그 때 족장은 세습이 아니었으면 족장 자리에 앉지도 못할 매우 무식한 인물이었다고 한다...) "음...거...모...붕인가 봉인가 잡으러 가는 탑이래나..." ~~ ~~ ~~ 그 말을 들은 원시 여류 조각가 "탑 쌓으리"는 감타하여 말하기를 "거...봉...탑...이라" 하니 이후 그 탑은 거봉탑이라 불려졌다 한다. (현재 소실됨..이유는 이후에 나옵니다...) 이 탑을 쌓는데 참여하여 예술로 승화시킨 "탑 쌓으리"는 후일 연음법칙과 경음퇴치법칙, 자음 순화법칙에 의하여 [탑 쌓으리--> 탑싸리-->싸리-->샤리]로 변천되어 천재 조각가를 빗대어 표현하는 상징이 되었다 한다. 후일 귀주국에도 "샤리"라는 천재 조각가가 있었다 하나 자료가 유실되어 확인할 수 없음이 안타가울 뿐이다. 자 이제 그럼 루카는 이런 전설과 또한 어떤 연관이 있는지 유심히 보도록 하자... "붕"은 그런 인간들이 너무도 괘씸하여 날아올라 거봉탑을 향하여 배설물(똥)을 내리니(싸니) 그 때 "붕"은 이렇게 울었다고 전해진다. "똥 누까(루카)~~~ 똥 누까(루카)~~~ 똥 누까(루카)~~~" (이것은 후일 역사학자들에 으해 해석된 것이나 거의 정설로 굳어 지고 있다...) 이 때 붕의 똥은 바로 크고 둥근 흰 똘이니 바로 그가 천년에 한번 먹고 싸는 그 똘인 것이다. 이 크나큰 똘이 거봉탑위에 떨어져 거봉탑은 완전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비록 역천 행위의 소산이나 그 예술적 가치를 보지 못하게 된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 하겠다. 후일 모래바람속에 사는 "이슬이야" 족속도 그와 비슷한 짓을 행하여 천벌을 받게 되는 전철을 밟으니 그 탑의 이름이... "바로 그 벨아먹을 탑"(바벨탑) ~~ ~~ ~~ 인 것이다. 자 그럼 그 알은?(사실은 똘이나 인간들은 "붕"의 알이라 생각하여 "붕알"이라 불렀다 한다...) 그 알은 태양과 이슬을 머금고 천년이 지나 사내아이 하나를 낳으니... 사람들은 그를 "루카" 라 불렀던 것이다... [다음에 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