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envirOnment ] in KIDS
글 쓴 이(By): RFM (new wind)
날 짜 (Date): 2002년 7월 25일 목요일 오전 10시 25분 05초
제 목(Title): 미래의 모습


경기도 북부지역은 중소규모의 공장이 많은 곳입니다. 특히 무등록 공장에서 
배출하는 폐수로 인해 신천, 포천천 등의 수질오염은 심각합니다. 업종도 염색, 
피혁, 가구 등으로 적절한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을 경우 하천에 미치는 영향은 
큽니다. 

며칠 전 공장이 밀집해 있는 지역의 면사무소를 방문해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면의 전체 인구가 9,000명 정도인데 공장 수의 정확한 추정은 
불가능하지만 등록된 공장이 400개이고 무등록이 600개 정도 된다고 합니다. 

제 관심을 끈 것은 이 지역에 공장이 급증하게된 이유입니다. 마을 이장 한 
분이 이런 말씀을 하시더군요. '예전에는 이 지역이 대부분 경작지였는데 
농사를 지으시던 주민 중 일부가 대지에 60평 정도의 건물을 지어 임대를 
시작했어요. 임대료가 한 달에 100만원 정도가 되었고, 건물을 3 개정도 지으면 
한 달 임대료만 300만원이 되어 짭짭할 수익원이 되었어요. 자신들은 경작지에 
집을 지어 외곽으로 빠지고 대지는 거의 공장으로 메워지기 시작했지요.'

면장에게 임대업을 하는 주민이 얼마나 되냐고 했더니 정확히는 모르지만 
예상외로 많은 수가 임대를 하고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자신들이 임대를 하기 
때문에 공장에서 폐수가 무단 배출하고 폐기물을 소각해도 항의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임대료를 받아 하기 때문이지요. 
공장에서 배출된 폐수가 지하수를 오염시켜 상수도가 공급되지 않은 이 지역의 
자가수도(우물)을 오염시키고, 공장마다 관정을 뚫어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물이 풍족했던 이 지역에 물이 말라가고 있답니다.
 
또한 공장마다 외국인 노동자를 채용하고 있어서 그 수가 정확히 파악이 되지는 
않지만 거의 수천 명에 달하고 있답니다. 그리고 이들에 의해 도난, 폭력 
사건이 발생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했습니다.
 
지역주민들이 불과 10∼20년 만에 자신들의 마을을 완전히 뒤바뀌게 
만들었습니다. 

이 지역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이런 행위가 면 단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어느 날 갑자기 먹을 물이 없고 숨쉬기 곤란한 상태에 오지나 
않을까? 손 쓸 방법도 찾지 못한채...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