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ducationLearning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guest) <lab5.hsg.usu.edu> 날 짜 (Date): 1999년 7월 3일 토요일 오전 02시 30분 48초 제 목(Title): [아침햇발] /이젠 '학교 살리기'다 (한겨레 마침내 교원노조 시대의 막이 올랐다. 엊그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한국교원노동조합(한교조)이 설립신고를 마침으로써 '전문직 노동자로서의 교원'의 시대가 법적으로 열린 것이다. 이제 교사들이 교육의 주체로서 교육개혁을 본격 추진할 수 있게 됐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노동운동과 사회민주화를 위해 기여할 수 있게 됐다. 실로 역사적 의미가 크다. 10년이란 오랜 세월동안 혹독한 여건 속에서도 전교조를 결성해 지켜온 교사들을 비롯, 참교육 실현을 열망해온 교사들과 국민들의 귀중한 성과물이다. 교사들에게 축하의 마음을 전하기 보다는 먼저 무거운 책무를 강조하고 싶은 것은 어째서인가. 갈수록 황폐화되는 학교를 살아숨쉬는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일이 그만큼 절박하기 때문이다. 학교의 황폐화 현상은 어떠한가. 우선 학교교육의 기본이랄 수 있는 학과수업의 모습을 보자. 일선교사들은, 40-50명의 학급학생 가운데 제대로 수업을 받는 사람은 10명이내인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말한다. 딴 생각이나 낙서·잡담하는 아이, 얼굴화장하는 아이,잠자는 아이,심지어 제멋대로 밖에 나갔다 들어오는 아이. 예전에도 수업태도가 불량한 아이들은 있었지만 요즘처럼 그 숫자가 많고 정도가 심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학생들의 사회진출에 필요한 지식과 교양을 전승하고 민주시민으로 키우는 학교 고유의 역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 얼마나 사회적 손실이 큰가. 교사와 학생사이에 가르치는 보람과 배우는 기쁨이 있을 리가 없다. 사제간에 사랑과 존경 속에 겉도는 수업을 내실있는 수업으로 바꾸는 일이 시급하다. 또하나의 학교황폐화 현상은 학생들 관계에서 이뤄지는 부도덕하고 비인간적인 행태다. 집단적 괴롭힘과 교내폭력은 이미 교육계 차원을 넘어 범사회적 문제로까지 부각됐지만 쉽사리 근절되지 않고 있다. 요즘에는 교실에서 도둑질이 심할 정도로 이뤄지고 있다. 학용품과 현금은 말할 것도 없고 교과서나 참고서, 신발,체육복·교복까지 훔치는 일이 비일비재로 일어나고 있다. 전혀 안심하고 학교다닐 수 있는 여건이 아니다. 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서로간에 믿음이 없고 황량함만이 깔려 있다. 학부모쪽에서는 교사가 촌지나 밝히는 줄 알고 부담스러워 해 접촉을 필요이상으로 기피하는 경우와, 거꾸로 촌지를 통해 교사의 환심을 사 흥정관계를 구축하려는 경우가 병존한다. 자식들에게 교사에 대한 인상을 나쁘게 심어줘 교사-학생관계를 악화시키는 학부모도 많다. 교사쪽도 학부모들이 지나치게 촌지를 의식하는 게 기분나쁠 뿐아니라 자기자식의 문제만 관심을 쏟고 학교를 위한 행사는 외면하는 행태가 불만이다. 학교황폐화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일반교사들과 교장·교감 사이의 관계도 메마르다. 교사들은 교장·교감이 학교 운영에서 교사의 의견을 수렴함이 없이 전횡을 일삼는다고 불평하고, 교장·교감은 교사들이 학교일을 열심히 하지 않는다고 못마땅해 한다. 학교를 에워싸고 황폐함의 그림자가 곳곳에 깔려 있다. 이처럼 황폐할대로 황폐해진 학교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이 문제를 고민해온 교육계 안팎의 인사들에게 교원노조의 출범은 먹구름을 뚫고 나온 한줄기 햇살이다. 이 점에서 교원노조들의 책무는 무겁다. 교원의 신분보장과 사회·경제적 지위향상을 위한 활동과 더불어 학교현장에서 황폐함을 걷어내고 개혁과 참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을 펼쳐야 한다. 우선 그동안 방관자적·수동적 입장을 취해온 교사들을 학교살리기 운동에 본격 나서도록 선도해야 한다. 교사들의 자기계발과 실효성있는 연수는 필수적이다. 내실있는 수업을 실시하고 동료애가 넘치는 학생관계를 조성하기 위해 수업모형 개발,학급운영과 학생생활지도 연구 등을 통해 거둔 성과를 모든 교사들 사이에 공유하고 실천토록 해야 한다. 그래서 학교를 아이들이 가고 싶어하는 곳으로 만들어야 한다. 교사·학부모 관계와 교원간의 관계에서도 대립과 갈등을 합심협력하는 모습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이런 성과를 거두는데 필요한 여건들을 교육행정기관과의 단체교섭에서 확보해야 한다. 교원노조들 사이에서 소모적인 세력 확보 경쟁을 지양하고, 협력을 통해 학교가 활기넘치는 공동체로 거듭나도록 해야 한다. ---- |